사회 사회일반

산후조리원에 돋 쏟아붓고도…연 500명 전염병에 감염

산후조리원 평균 이용료 250만원

2주에 최고 2000만원짜리도 있어

산후조리원에서 전염병에 감염되는 신생아와 산모가 한해 5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산후조리원에서 전염병에 감염되는 신생아와 산모가 한해 5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산후조리원에서 전염병에 걸리는 신생아와 산모가 한해 5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산후조리원 이용이 증가하며 산모 2명 중 1명은 조리원에서 관리를 받는데 2주 사용에 최고 2,000만원의 비용이 들며 업소별로 29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0일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의하면 산후조리원에서 질병에 걸린 신생아 등의 수는 2013년 49명, 2014년 88명, 2015년 414명, 2016년 489명으로 증가했다. 올해는 상반기까지 277명이 감염됐으며 연말에는 500명 이상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감염이 가장 많았던 질병은 로타바이러스감염증이며 138명이 걸렸다.

로타바이러스감염증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변이나 구토물에 오염된 손이나 환경, 물을 통해 감염되는데 면역력이 약한 생후 3∼35개월 사이 영·유아가 주로 걸린다. 구토와 발열, 묽은 설사, 탈수증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대부분은 회복하지만 매우 드물게 사망하기도 한다.


그다음으로는 감기(120명), RS바이러스감염증(54명), 장염(31명), 기관지염(30명), 뇌수막염(20명), 폐렴(16명), 요로감염(16명), 패혈증(13명), 결막염·엔테로바이러스감염증(11명), 배꼽감염(9명), 신우신염(5명), 수족구병(4명), 농가진·구강칸디다증(3명), 인플루엔자·B형연쇄상구균감염증·포도상구균감염증·대상포진·중이염(1명) 순이었다.

관련기사



대부분의 감염자는 면역력이 취약한 신생아다. 신생아는 산부인과에서 병균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산후조리원에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서 4시간 이상 체온과 대·소변 등 감염증상을 확인해야 한다. 신생아실 집단감염 방지를 위해 신생아당 적어도 1.7㎡의 면적을 확보하고 신생아 요람은 90㎝ 이상 간격을 둬야 하지만 실제 충분한 공간 확보가 안 되는 것으로 복지부는 파악했다. 남 의원은 “산후조리원의 감염사고가 2013년부터 3년간 9.4배 증가했고 결핵과 뇌수막염, 감기 등 호흡기 질환은 10배 이상 증가했다”면서 “민간 산후조리원에 대한 관리·감독을 철저하게 해야 한다”고 전했다.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작년 612곳 올해 6월 현재 614곳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 산모·신생아의 46.6%가 산후조리원에서 관리를 받았다. 신생아 1명을 동반하고 2주간 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용은 지난 6월 기준 최고 2,000만원 최저 70만원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구 소재 A산후조리원은 일반실 960만원, 특실 2,000만원이었다. 강남구에는 이용료가 1,000만원이 넘는 조리원이 약 10곳에 달한다. 전북 정읍시 B산후조리원은 일반실이 70만원이었다. 조리원의 최고가와 최저가 차이는 28.6배였다. 전국 평균 요금(일반실·2주 기준)은 234만원이었다. 요금인 높은 지역은 서울 314만원, 경기 234만원, 대전 231만원, 충남·울산 227만원 순이었고 낮은 지역은 전남 123만원, 경남 156만원, 전북 157만원, 부산 167만원 등이었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