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현대차 어려워지자 2,3차 협력업체 매물로 나왔다

만도 등 1차협력사 "기술 확보"...발빠른 M&A 움직임

현대자동차그룹 1차 협력업체가 국내외 2·3차 협력업체 인수합병(M&A)을 통해 사업 재편을 추진한다. 국내 업체를 인수해서는 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독일이나 이탈리아 등 부품 강소기업에서는 기술력을 확보하겠다는 방안이다.

30일 자동차 업계와 사모투자펀드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005380)그룹은 최근 1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세미나를 열어 M&A와 연구개발(R&D)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 현대차 1차 부품사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에서 ‘2, 3차 협력사를 인수해 마진 비용을 줄인다면 일정 물량을 맡길 수 있을 것’이라며 협조를 요청해왔다”고 밝혔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1차 협력사들이 인수전에 나설 경우 현대차그룹이 협력사 저리대출 제도를 통해 이를 지원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한국자동차협동조합에 따르면 현대차 1차 협력사는 350개로 이 중 24개는 현대차에만 납품하고 있다.


현대차는 현대모비스·현대위아 등 계열 부품사가 국내 2, 3차 부품사 인수에 나설 경우 ‘일감 몰아주기’로 비칠 수 있어 비계열 부품사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의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업체의 협업을 늘려야 하는 상황에서 기존 국내 부품업체 관련 비용을 줄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M&A 대상 업종은 전선·사출성형 등 기술력은 낮지만 규모의 경제가 필요한 부품업종이 우선 거론된다. 임두빈 삼정KPM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재무적으로 보면 자동차부품 산업 중 차체부품은 영업이익을 벌어도 이자를 갚느라 경영 지속성이 낮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들 업체는 1차 협력사라도 자금 여력이 높지 않아 인수 추진이 어려운 상황이다.

오히려 만도(204320)·한온시스템(018880)·두올 등 비 현대차그룹의 중대형 업체가 발 빠르게 움직이는 양상이다. 만도는 자율주행차 활성화를 위한 초정밀지도 개발을 핵심 과제로 선정했고 한온시스템은 독일 보쉬와 말레가 중국에 설립한 자동차부품사 보쉬말레터보시스템스 인수 경합을 벌였다. 두올은 지난달 스웨덴 부품사 보르그스테나를 인수했다.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