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 산학연 자율주행 연합체 '어라운드 얼라이언스' 발족

서울대·연세대·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 참여

역량·인프라 공유해 원천 기술 개발

"국내 자율주행 상용화 앞당긴다"

SK텔레콤이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과 함께 산학연 자율주행 공동연구 연합체 ‘어라운드 얼라이언스(AROUND Alliance)’를 발족했다고 31일 밝혔다.

어라운드 얼라이언스는 기업, 대학, 연구소가 서로의 역량과 인프라를 공유해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됐다.

이를 통해 △사고 위험 없는 자율주행을 위한 인공지능 및 주행 인지 · 판단 소프트웨어 고도화 △범용 자율주행 플랫폼 구축 △주요 소프트웨어 오픈 소스 제공 △인재 양성 등에 집중할 계획이다.


SK텔레콤 네트워크 기술원은 차량통신·인공지능을, 이경수 서울대 교수팀은 차량동력공학을 맡는다. 김시호 연세대 융합기술원 교수팀과 주다영 연세대 기술과디자인연구센터 교수팀은 각각 IT융합공학과 기술디자인 및 인간-기계 상호작용을, 홍성수 서울대 교수팀은 실시간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담당한다. 또 권순 DGIST 미래자동차융합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영상 인식 분야 전문가다.

관련기사



어라운드 얼라이언스는 자율주행 인재 양성에도 뜻을 모으기로 했다. 연합체는 대학(원)생들이 자율주행을 시험하고 연구할 수 있는 공간과 커리큘럼 개설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날 연합체 발족과 함께 인천 송도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는 ‘SK텔레콤-연세대 협력자율주행 연구센터’가 문을 열었다. 이 연구센터는 자율주행의 인공지능 클라우드, 자율주차, 전장 부품 연구 공간 등으로 나뉘어 자율주행 경로·주행판단 기술, V2X 기반 서비스, 운전자 인터페이스 기술 등을 연구하는데 최적화 돼 있다. 조만간 서울대, 대구 등에도 공동 연구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연합체의 역량과 인프라 공유를 통해 국내 자율주행 생태계가 빠르게 확대될 것”이라며 “연합체를 통해 발굴된 많은 인재들이 글로벌 자율주행 산업에서 활약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홍대식 연세대 공과대학장은 “연합체 설립은 5G 및 지능형 커넥티드카의 원천 기술 확보와 우수 연구 인력 양성을 위한 매우 바람직한 투자”라며 “연세대도 연합체 안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수 서울대 교수는 “자율주행차는 교통 안전과 효율성을 해결하는 핵심 기술이다”라며, “어라운드 얼라이언스가 자동차, ICT융합 산업의 기반을 구축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