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수원시, 2027년까지 초미세먼지 배출량 25% 줄인다

미세먼지 대응 정책 발표…5개 분야 종합계획 수립

초미세먼지 배출량, 내년 3%, 2022년 15%, 2027년 25% 감축 목표

수원시는 오는 2027년까지 초미세먼지 배출량을 2014년 대비 25% 감축하는 ‘초미세먼지 배출량 목표 관리제’를 운영한다고 31일 밝혔다.

수원시는 이날 시청 중회의실에서 ‘수원시 미세먼지 대응정책 발표회’를 열고 정책, 교통, 산업, 생활, 대시민 홍보 등 5개 분야에 걸쳐 ‘미세먼지 대응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내년부터 ‘시민참여를 바탕으로 한 미세먼지 대응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에 시민, 시민단체 회원, 전문가 등 300여 명이 참가하는 원탁토론회를 열어 미세먼지 대응 정책에 대한 시민의견을 수렴한다. ‘광역 차원의 미세먼지 대응 협력’도 강화한다.

교통’ 분야에서는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 제도’를 시행하고 전기자동차·천연가스(CNG) 버스 보급을 늘릴 계획이다. 아울러 노후경유차 조기 폐차, 경유차 매연저감장치 부착을 지원한다.

‘산업’ 분야에서는 대기오염배출시설·날림먼지 발생 사업장 관리를 강화하고, 저녹스(低NOx) 버너·친환경 보일러 설치를 지원한다. ‘생활’ 분야에서는 건강취약계층 이용시설 실내 공기질 관리를 강화하고, 65세 이상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어린이 등 7만 명에게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전 ‘황사용 마스크’를 보급할 계획이다.


지난 2014년 기준 수원시 초미세먼지 배출량은 424톤,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은 9349톤, SOx(황산화물) 배출량은 389톤이었다.

관련기사



NOx 배출원별 비중은 ‘도로이동 오염원’이 54.9%로 가장 많았고, 비도로이동 오염원이 23.8%, ‘비산업 연소’(가정 난방시설 등)가 15.4%였고, SOx 배출원별 비중은 ‘에너지산업 연소’가 48.4%, 비산업 연소, 29.7%, 폐기물처리가 18%였다.

‘미세먼지 줄이기 위한 수원시민 생활실천수칙’ 발표했다.

실천수칙은 △대중교통 이용하기 △친환경 보일러 설치하기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차량 2부제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급출발·급제동·공회전하지 않기 등이다.

심균섭 수원시 기후대기과장은 “초미세먼지 상세배출원을 조사한 후 분야별 감축 목표를 설정·추진해 초미세먼지 배출량을 줄일 계획”이라며 “2014년 배출량 기준으로 2018년에는 3%, 2022년 15%, 2027년 25%를 감축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국립환경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수원시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은 424톤이었다. 배출원별 비중은 비산(날림)먼지가 35.7%로 가장 높았고, ‘도로이동 오염원’(버스, 승용차 등 일반 자동차)이 27.1%, ‘비도로이동 오염원’(건설장비 등)이 25%, ‘생물성 연소’(노천 소각, 고기·생선구이 등)가 6.9%로 뒤를 이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