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일본판 해병대 2020년 오키나와 배치…中 견제

방위성, 수륙기동단 출범 추진…미군기지 공동사용 방침

일본이 내년 3월 신설하는 상륙전 전담부대 수륙기동단을 2020년대에 오키나와에 배치해 미군기지를 공동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아사히신문이 31일 전했다.

이는 일본이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와 지리적으로 가깝다는 점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포석으로 관측된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은 당초 계획대로 내년 3월께 육상자위대에 2,100명 규모의 수륙기동단을 신설할 예정이다.


방위성은 애초 해당 부대를 나가사키 현 아이노우라 주둔지를 비롯해 규슈 지역에 두기로 했지만 2020년대 전반기에는 오키나와 미 해병대 기지인 캠프 한센에도 배치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아이노우라 주둔지에는 2개 수륙기동연대를 두고 오키나와에는 향후 발족 예정인 세 번째 수륙기동연대를 600명 규모로 배치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이 수륙기동단은 미 해병대를 모델로 한 것이어서 ‘일본판 해병대’로도 불린다. 낙도가 침범을 받을 경우 전투기와 호위함 등의 지원을 받으며 수륙양용차와 보트 등을 이용해 섬에 상륙해 탈환작전을 벌이게 된다.

이 시기는 주일미군 재편 계획에 따라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미국 해병대 일부가 괌으로 이전한 이후가 된다. 수륙기동단 부대의 오키나와 배치는 센카쿠열도와 근접해 중국을 견제하고 난세이 제도에 돌발사태 발생 시 조기에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미·일은 지난 8월 외교·국방 장관협의회(2+2)를 열고 난세이제도를 포함한 자위대 태세를 강화하고 미군기지의 공동사용을 촉진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2006년 오키나와 미군기지 부담 경감과 억지력 유지를 동시에 추진한다며 주일미군 재편 로드맵을 세웠으며 2012년에는 오키나와 주둔 해병대 중 9,000명을 외국으로 이전시키기로 미국 측과 합의했다. 이와 관련해 오키나와 지역에서는 수륙기동단의 지역 배치가 미군기지 부담 경감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반발할 것으로 신문은 예상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