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80%가 단순직…서울시 노인일자리 '골골'

단순노무·판매종사·서비스업 등

은퇴 전 업무와 무관…급여 낮아

민간기업과 협력해 일자리 늘리고

취업정보 접근성 높여 질 개선해야

지난 9월 서울 양재동에서 열린 ‘중장년 채용한마당’에서 구직자들이 채용상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30년간 국가기관에서 근무하다 2년 전 퇴직한 최모씨는 요즘 지하철 택배 일을 하고 있다. 최씨는 현직에서 통신 관련 업무를 했지만 60대 초반의 나이에 새로운 직장을 찾기는 쉽지 않았다. 시니어취업박람회 등 여러 곳을 찾아다니다 얻은 일자리가 지하철택배원이다. 만족감은 그리 크지 않다. 최씨는 “급여에 비해 노동강도가 높아 계속 이 일을 해야 할지 고민”이라며 “주변을 둘러봐도 퇴직 후 다시 취업하려는 사람이 만족할 만한 일터를 찾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눈앞에 둔 서울시의 노인 일자리 정책 수술이 시급하다.

서울시의 노인 일자리 지원은 다른 지방자치단체에 비해 풍족한 편이지만 일자리의 질 측면에서는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단순한 복지성 일자리가 대부분이어서 실제 일을 하는 노인들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있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65세 이상 서울시 주거 노인들 중 시를 통해 재취업한 노인 비중은 지난 2014년 3.6%, 2015년 3.9%, 2016년 4.40%로 매년 상승하고 있다.

관련기사



문제는 일자리의 질이다. 서울시의 일자리 알선을 통해 재취업한 노인들이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조사한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 일자리 실태에 따르면 노인들이 취업한 일자리는 단순노무(36.4%), 판매종사(28.3%), 서비스업(19.4%) 등이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은퇴 전에 근무했던 업무와 연관된 일자리 보다는 단순 노동형 일자리가 대부분인 것이다. 만족도도 높지 않다. 서울시복지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를 통해 재취업한 노인들이 꼽은 불만 중 가장 많은 것은 낮은 급여(47.6%)로 거의 절반에 달했다. 일자리 성격 자체가 단순직이다 보니 급여도 낮을 수 밖에 없다.

손태규 단국대 사회과학대학 교수는 “은퇴자 중 고학력과 전문영역을 다룰 수 있는 고급인력이 많지만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고령 친화적 취업 정보제공과 기업체 협력 확대 등을 통해 내실 있는 노인일자리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노인 일자리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취업정보를 노인들이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현재 일자리플러스센터 등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취업정보는 대부분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서 전달되고 있다.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은 정보를 접하기 어렵다. 실제 서울복지재단이 지난해 은퇴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재취업 정보습득 방법 중 인터넷 정보검색은 6.1%에 불과했다. 또 서울시와 25개 자치구가 취업 관련 소식들을 개별적으로 제공하다 보니 이를 한눈에 비교하거나 고르기도 어렵다. 지자체들의 취업관련 정보를 통합해 제공하는 창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서울시가 민간기업들과 협력해 보다 단순노무직 이외에 다양한 노인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는 것도 전문가들의 공통된 조언이다. 서울지역의 한 시니어클럽 관계자는 “공공기관을 통한 고령자 취업은 경비나 택배 등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시가 주도적으로 민간기업들과 협력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며 “노인들의 가장 큰 불만이 낮은 급여인 만큼 단순 노동이 아닌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틈새 일자리 발굴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