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닻 올린 '한국문학 진흥 플랜'...정부, 한국문학관 용산공원 건립 추진

주요 문학작품 근대문화재 등록도 검토

문체부, 공청회서 첫 '문학진흥기본계획안' 공개

8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한 ‘제1차 문학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강형철(왼쪽 세번째) 문학진흥정책위원회 부위원장이 서울 용산공원에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을 추진하는 것 등을 골자로 한 문학진흥기본계획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8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한 ‘제1차 문학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강형철(왼쪽 세번째) 문학진흥정책위원회 부위원장이 서울 용산공원에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을 추진하는 것 등을 골자로 한 문학진흥기본계획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한국문학을 진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국립한국문학관을 서울 용산공원 안에 건립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아울러 중요한 문학작품이나 문학 관련 유물, 유적을 근대문화재로 등록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강형철 문학진흥정책위원회 부위원장(시인)은 8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주최로 열린 ‘제1차 문학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문학진흥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이 계획안은 작년 2월 제정된 문학진흥법에 따라 최초로 마련된 우리 문학 진흥의 설계도다.

강 부위원장은 “문학진흥정책위원회는 3차례 심의를 거쳐 용산공원 내 국립중앙박물관(문체부) 부지를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의 최적 후보지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계획안에 따라 문체부는 올해 안에 ‘국립한국문학관 설립 협의체’를 구성, 주변 지역과의 적합성을 검토한 뒤 부지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이 협의체에는 문학계, 환경·도시계획·건축 분야, 시민단체 전문가, 서울시 관계자 등이 참여한다. 협의체는 내년부터 운영기관·조직체계 마련, 관련 인력과 예산 확보 등 본격적인 건립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협의체 내에 국립한국문학관 자료수집위원회(가칭)를 구성해 한국 문학 유산의 수집·보존 대책도 마련하고 중요한 문학 자료(작품·유물·유적)는 근대문화재 등록을 추진하기로 했다. 해외의 한국문학 관련 귀중 자료를 조사하고 보존하는 민간활동을 지원하고 국내로 반입해 보존·관리하는 데도 국립한국문학관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국립한국문학관은 도종환 문체부 장관이 국회의원 시절 대표 발의한 문학진흥법에 따라 설립 근거가 마련됐다. 문체부는 지난해 공모를 통해 문학관 부지를 결정할 계획이었으나 지방자치단체들 간의 유치 경쟁이 과열되면서 공모 절차를 중단했다. 이후 토론회와 의견 수렴을 거쳐 작년 12월 서울 중구 문화역서울284, 서울 용산구 국립극단 부지, 용산공원 부지 등 3곳을 후보지로 추린 뒤 타당성을 검토해왔다.

문체부는 국립한국문학관의 용산공원 부지 건립 방안과 함께 당초 이 부지로 옮겨올 예정이던 국립민속박물관을 세종시에 조성될 국립박물관단지로 이전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