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 ‘북한 고강도 압박’ 트럼프 요구에 부정적 입장

외무장관 “협상으로 합의 이뤄야”…상원 의장 “北 주민 굶주림 허용 안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시아 5개국 순방 중 만날 것으로 전망되는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AP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시아 5개국 순방 중 만날 것으로 전망되는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AP연합뉴스




러시아가 8일(현지시간) 북한에 대한 고강도 압박을 주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요청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러시아 외무부에 따르면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은 이날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외무·통상 장관 회의 뒤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국회 연설 내용과 관련해 이같은 견해를 표시했다.


라브로프는 기자로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힘을 통해 평화를 유지하고자 한다, 변명의 시대는 끝났다. 세계는 핵 파멸로 위협하는 불량정권을 관용할 수 없다’고 발언한 데 대한 논평을 요청받고 “북-미 간의 위협과 모욕 공방은 아무런 좋은 결과도 가져다주지 않는다”면서 “협상 테이블에 앉아 합의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그는 쌍중단 구상을 포함한 러-중 ‘로드맵’(단계적 문제 해결 방안) 제안을 상기시키면서 “평화적 해결 외에 대안은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반도 문제는 도들 넘는 감정이 아니라 차가운 머리로 접근해야 한다. 이는 너무 위험한 게임이다”면서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도 지난 여름 (한반도에서) 군사 충돌이 일어날 경우 수천, 수만 명이 희생되는 재앙이 일어날 것이라고 밝혔으며 최근 평가는 희생자가 수백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본다”고 지적했다.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도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국회 연설에서 중국과 러시아를 향해 ‘북한과의 외교관계를 격하시키고 모든 무역과 기술관계를 단절시킬 것’을 촉구한 데 대해 “우리는 북한에 대한 전면적 금수 구상을 지지한 적이 없다”며 “압박과 제재, 봉쇄는 우리의 수단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러시아 의회 지도부도 비슷한 입장을 보였다. 발렌티나 마트비옌코 러시아 상원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와 관련 “러시아는 기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에 충실하며 그것을 이행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앞으로 어떻게 할지는 더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을 둘러싼 상황의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북한에도 사람이 살고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면서 “우리는 21세기에 한 나라 전체 주민들이 굶주리거나 인도주의적 재앙에 처하도록 허용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