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종합] “우리의 무기는 진성성”…‘더 마스터’ 음악의 다양성을 꿈꾸다

음악의 다양성을 보여주기 위한 음악 예능 프로그램이 탄생했다. 바로 Mnet ‘더 마스터’가 그 주인공. 대중음악 뿐 아니라 음악의 다양성을 위해, 오직 음악의 힘에만 의지하는 ‘더 마스터’는 과연 시청자들의 마음을 흔들 수 있을까.

9일 오후 서울 광흥창 CJ 아지트에서 ‘더 마스터-음악의 공존’의 기자간담회가 진행됐다. 이날 기자간담회에는 Mnet 신정수 국장, 가수 윤도현이 참석헤 프로그램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사진=Mnet사진=Mnet


‘더 마스터’는 라이브의 황제 이승환, 국민 가수 최백호, 세계적 소프라노 임선혜, 천재소리꾼 국악 명창 장문희, 재즈 대모 윤희정, 뮤지컬 디바 최정원까지, 각 장르를 대표하는 음악인들이 하나의 주제를 두고 최고의 무대를 선보이는 음악 예능이다.

이날 기자간담회의 사회를 맡은 배순탁 작가는 “‘더 마스터’는 경쟁이 아닌 공존의 의미를 강조한 프로그램이다. 많은 이들이 메스미디어를 통해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악만 소비하는 거 아닌가에서 출발한 프로그램”이라며 “좋아할 수도 있을 만한 음악을 놓치는 것이 아닌가, 타인의 취향으로 결정된 음악들만 즐기는 것은 아닌지 하는 것은 아닌지 등 고민 끝에 탄생했다. 경쟁이 아니라 음악으로 감동을 전한다는 목적 하나로 나아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신 국장은 “‘나는 가수다’라는 연출을 했었는데, 그때 끝나고 여러 가지 생각을 했었다. 그러던 중 전주에서 국악무대를 현장에서 듣게 됐고, 이를 음악예능 프로그램에서 다뤘으면 좋겠다 생각했다. 이후 이 같은 생각이 발전, 국악만 할 것이 아니라 내가 평소 즐겨 듣지 않았던 재즈나, 클래식 같은 영역으로 확대하면 더 좋지 않을까 싶었다”며 “제일 중요한 것은 다양성이었다. 음악에는 여러 가지 장르가 존재하지만, 현재 음악시장은 ‘대중음악’에만 편중된 것은 느낀다. 어쩌면 대중은 다양한 음악을 원하고 있지 않을까 싶었고, 그거이서 생각을 넓힌 프로그램이 ‘더 마스터’였다“고 말했따.

사진=Mnet사진=Mnet


신 국장이 강조한 ‘더 마스터’의 중요 키워드는 바로 ‘공존’이었다. ‘더 마스터’의 부제 ‘음악의 공존’이 더 먼저 나왔다고 말한 신 국장은 “제작진과 4월부터 어떻게 하면 다른 프로그램과 차별화 시킬 것인가 토론을 많이 했다. 그리고 선택한 결론은 ‘음악으로 승부를 건다’였다”고 강조했다.

공존은 ‘다양성’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한 신 국장은 마스터 선정 기준의 공정함에 대해 최대한 각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추천을 받아 섭외하게 됐다고 고백했다.


여섯 명의 마스터에게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마스터 군단이 함께 한다. 마스터와 마스터가 만나 특별한 무대를 만들어 낼 예정이다. 작곡가 김형석은 클래식 마스터 임선혜의 공연에 편곡자로 참여한다.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함께 오를 예정이다. 국악 마스터 장문희는 뮤지컬 ‘서편제’ 등으로 국악과 연을 맺은 윤일상이, 작곡가 돈스파이크는 뮤지컬 마스터 최정원의 공연을 위해 편곡자로 참여한다. 마스터 최백호 무대는 국내 대표 아코디어니스트 심성락이, 재즈 피아니스트 조윤성은 재즈 마스터 윤희정의 무대를 위해 연주실력을 뽐낸다.

관련기사



‘더 마스터’가 TV라는 장르에서 선보이는 만큼 ‘재미’부분에 대해서도 가볍게 넘길 수 있는 분야가 아니었다. 신 국장은 이 같은 재미에 대해 “경연이라는 제도를 도입했다. 경연을 도입한 이유는 다른 것 보다 여섯 명의 마스터가 나와서 노래만 할 때 일반 대중과 어떤 소통이 가능할까, 어떠한 동기부여가 있을까라는 고민에서 시작된 것”이라며 “제작진이 생각한 것은 최소한의 경쟁”이라고 밝혔다.

사진=Mnet사진=Mnet


또 다른 재미적인 부분에 대해 신 국장은 다양한 마스터의 순환이었다. 신 국장은 “10회를 생각하고 있는데, 각 장르에서 세 명의 마스터들이 나와서, 장르 내에서 또 다른 색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라며 “음악이라는 장르의 상상력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궁금하다”고 말했다.

300명의 마스터 감상단이 선택한 가장 감동적인 무대의 마스터가 그랜드 마스터가 된다. 이 같은 마스터 감상단은 사전신청으로 결정된다. 이 같은 마스터 감상단의 전문서과 관련해 “생각보다 관객의 수준은 높았다. 결과를 놓고 보면서 감동을 받은 선택을 하는 연령층과 그것을 보고 느끼는 일반 관객들의 수준이 음악이라는 것이 지식이나 음악적인 전문가적 견해가 없어도 마음으로 듣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부분에서 걱정이 없다”고 고백했다.

전문가 평가단을 구성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신 국장은 “사실 전문가들의 의견을 30% 반영해야 하지 않을까 고민도 했다. 하지만 결국 대중으로만 형성한 이유는 클래식도 국악도 재즈도 결국에는 대중음악이 돼야 한다는 생각에서였다. 마스터 분들께서도 이러한 음악들이 대중음악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신다”며 “일반 음악시장에 있는 사람을 상대로 해야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생각하신다. 그렇기에 대중들에게 성과를 받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대중과 분리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MC 윤도현은 “‘더 마스터’는 장르의 다양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윤도현은 “‘더 마스터’는 사실 ‘나가수’ 때만큼 심장이 조여오지는 않았다. 경연 형식이기는 하지만, 페스티벌 형태에 더 가깝다”고 ‘더 마스터’의 최대 장점에 대해 밝혔다.

한편 ‘더마스터’는 오는 10일 오후 8시 20분 Mnet과 tvN에서 공동 방송된다.

/서경스타 금빛나기자 sestar@sedaily.com

금빛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