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또 낙하산...文캠프 특보출신 KISA(한국인터넷진흥원) 원장에

방송계 출신 김석환 동서대 교수 임명

"IT 기업 대표 역임... 비전문가 아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일 신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에 김석환(사진) 동서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객원교수를 임명한다고 밝혔다. 정치권과 보안 업계에서 우려했던 ‘낙하산 인사’가 결국 현실화한 것이다.

경남권 지역방송인 KNN 대표를 지낸 김 신임 원장은 PSB부산방송 편성국장과 보도국장,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등으로 일했다. 김 원장은 오는 13일부터 KISA 원장으로 업무를 보게 되며 임기는 2020년 11월까지다. KISA는 지난 9월 백기승 전 원장의 임기만료 퇴임 이후 두 달 동안 신임 원장 공모절차를 진행했다.


다만 사이버보안이나 개인정보보호 업무 경험이 없는 방송사 출신 김 원장에 대한 ‘전문성 논란’이 불거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 원장이 19대 대통령선거 당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캠프의 미디어특별보좌단에서 활동한 이력도 논란이 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성태(비례)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달 17일 국정감사에서 김 원장 ‘내정설’을 언급하며 “정보·보안 이력이 전혀 없는 방송계 출신을 대선캠프에서 공을 세웠다는 이유로 선임한 것은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김 원장은 이날 통화에서 “KISA의 수장은 새로운 기술을 부작용이 없도록 잘 적용하고 조율하는 자리”라면서 “방송사의 정보기술(IT) 계열사(iKNN) 대표를 지내면서 여러 가지 전략을 수립했던 만큼 완전히 비전문가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낙하산 인사라는 지적과 관련해서도 “KISA의 신임 원장 공모에 정당하게 지원해 서류·면접절차를 공정하게 거쳤다”면서 “특히 임원추천위원회 구성원이 박근혜 정부 시절에 임명된 분들로 개인의 정치적 활동 등이 고려될 수 없는 구조”라고 해명했다.

인터넷 관련 3개 기관을 합병해 2009년 설립한 KISA는 초대 원장으로 친이명박계 정치인인 김희정 전 새누리당 의원이 오면서 처음으로 낙하산 인사 논란이 일었다. 김 전 의원은 KISA 원장 임기 3년 중 불과 1년만 채우고 청와대 대변인으로 임명돼 떠났다. 이어 이 전 대통령 당선 이후 인수위원회에서 활동했던 2대 서종렬 원장은 비서 성추행 사건에 휘말리며 1년8개월 만에 불명예 사퇴했다. KISA 설립 이후 처음으로 3년 임기를 채우고 물러난 백 전 원장 역시 2012년 18대 대선 당시 박근혜 후보 캠프 공보상황실장을 맡았고 청와대 홍보수석실에서 국정홍보비서관까지 지낸 뒤 임명돼 ‘정권 코드 인사’라는 지적을 받았다.

지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