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국민 절반 "IMF, 韓경제 최대 고난기…당면 과제는 일자리창출"

KDI 換亂 20년 대국민 인식조사

12


국민 절반 이상이 1997년 발생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한국 경제의 최대 ‘고난기’로 꼽았다. IMF 외환위기로 사회 양극화와 고용 불안이 높아졌다는 지적이 제기됐지만 기업과 금융 생태계의 건전성이 개선된 점은 긍정적 평가가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4일 발표한 ‘IMF 외환위기 발생 20년 대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57.4%가 IMF 외환위기를 어려웠던 시기라고 답했다.


IMF가 몰고 온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는 ‘소득·빈부 격차 확대 등 양극화 심화’를 꼽은 응답자가 31.8%로 가장 많았다. ‘대량실직·청년실업 등 실업문제 심화(28.0%)’ ‘계약·용역직 등 비정규직 확대(26.3%)’ 등이 뒤를 이었다. 복수응답까지 포함할 경우 공무원이나 교사 등 안정적인 직업 선호 경향을 낳았다는 비판도 거셌다.

관련기사



긍정적 영향으로는 ‘구조조정을 통한 대기업·금융기관의 건전성·경쟁력제고(24.5%)’라는 답변이 많았다. 뒤를 이어 ‘아끼고 절약하는 소비문화 확산(23.1%)’ ‘기업경영 및 사회 전반의 투명성 제고(22.7%)’ 등이 차례로 꼽혔다.

국민의 59.7%는 IMF 외환위기가 본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직접 끼쳤다고 답했다. 이들 중 68.9%가 급격히 좁아진 취업시장을 경험한 대학생이었고 자영업자와 농림·축산·수산업 종사자가 뒤를 이었다.

현재 한국에 가장 중요한 과제로는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일자리 창출 및 고용 안정성 강화(31.1%)라는 답변이 높았다. 하지만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등 경쟁력 제고(19.2%)라는 답변이 뒤를 잇는 등 문재인 정부의 정책 기조에 대한 지지와 함께 ‘산업정책이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도 함께 감지됐다. 임원혁 KDI 글로벌경제연구실장은 “국민이 외환위기 극복의 원동력으로 금 모으기 운동 등 국민 단합을 구조조정 및 개혁 노력보다 더 높게 평가한 것에 주목한다”며 “포용적 성장을 통해 사회 응집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