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中 특사-北 리수용 회담... "한반도 문제 의견 교환"

트럼프 "무슨일 일어날지 보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사인 쑹타오(오른쪽) 중국 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장이 지난 18일 북한 평양에서 리수용 북한 노동당 중앙정치국위원 겸 부위원장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교도통신AP=연합뉴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사인 쑹타오(오른쪽) 중국 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장이 지난 18일 북한 평양에서 리수용 북한 노동당 중앙정치국위원 겸 부위원장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교도통신AP=연합뉴스


북한이 60일 이상 도발을 중단한 가운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사로 방북 중인 쑹타오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지난 17일 출국한 뒤 평양에서 최룡해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을 만나고 18일에는 리수용 노동당 국제담당 부위원장과도 손을 잡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 테러지원국 지정을 앞두고 쑹 부장의 방북에 대해 “무슨 일이 일어날지 보자”며 기대감까지 드러낸 상황이어서 이번 중국 특사 방북이 북한을 둘러싼 한반도 정세 변화의 큰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쑹 부장과 리 부위원장의 회담에서 “쌍방은 조선반도와 지역 정세, 쌍무관계를 비롯한 공동의 관심사로 되는 문제들에 대하여 의견을 교환하였다”고 밝혀 북핵을 비롯한 한반도 문제를 논의했음을 시사했다. 쑹 부장은 최 부위원장과 만나 “중조(중국·북한) 두 당, 두 나라 사이의 전통적인 친선관계를 계속 발전시켜나가자”는 중국 공산당의 입장을 설명하고 김정은 위원장에게 보내는 선물을 전달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지난주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하는 최종 결정을 유보한 미국도 중국의 특사 파견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 순방 직후 북한에 대한 문제를 포함한 ‘중대 발표’를 하겠다고 예고해 미국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그러나 최종 결정 직전에 트럼프 대통령이 지정을 유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트럼프 대통령은 쑹 부장의 방북을 두고 “큰 움직임”이라며 “무슨 일이 일어날지 보자”고 말했다.

관련기사



다만 중국 관영매체인 환구시보는 18일 사평에서 “쑹 부장의 방북에 과도한 기대를 갖지 말라”고 지적했다. 환구시보는 “북중 간 핵 문제를 둘러싸고 불일치가 존재하고 고위층 교류도 크게 줄어 양국 관계가 침체된 상태에서 쑹 부장의 방북이 북핵 문제의 전기를 마련하기는 쉽지 않다”며 “중국은 북핵 문제 해결의 한 축이지만 결정적 역할을 하는 국가는 아니다. 문제 해결의 당사자는 미국과 북한”이라고 강조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