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2017 에너지전략포럼] "신재생은 글로벌 추세...4차산업 일자리도 창출"

에너지 전환 정부 입장은

이인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29일 오전 서울 중구 장충동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에서 서울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제8차 에너지전략포럼 ‘전환기의 에너지믹스…자원빈국의 최적화한 모델은’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송은석기자이인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29일 오전 서울 중구 장충동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에서 서울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제8차 에너지전략포럼 ‘전환기의 에너지믹스…자원빈국의 최적화한 모델은’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송은석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전과 석탄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라는 점을 근거로 에너지 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에너지 차원의 문제를 넘어 신재생에너지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4차산업 기술과 결합한 신산업 분야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이인호(사진) 산업부 차관은 29일 서울경제신문이 ‘전환기의 에너지믹스···자원빈국의 최적화한 모델은’을 주제로 서울 중구 장충동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에서 개최한 에너지전략포럼에 참석해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는 석탄 발전 비중을 낮추고 신재생과 가스발전을 역대 최고 수준으로 늘렸다”며 “전 세계 신규 발전설비투자를 보면 재생에너지에 69%가 집중됐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동남권에 밀집된 원전 다수호기 문제를 해결하고 2%대에 머무르는 신재생 발전 비율을 늘리기 위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까지 늘리겠다는 ‘신재생 3020’ 정책을 수립하고 세부 계획을 가다듬고 있다. 이 차관은 “노후원전 수명연장 금지와 신규원전 건설 백지화, 노후석탄발전의 조기 폐쇄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원전 석탄의 빈자리는 신재생에너지와 액화천연가스(LNG)로 대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재생에너지 중 태양광과 풍력의 비중을 80%까지 높여 선진국형 에너지믹스를 달성하겠다”고 덧붙였다. 산업부는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분산형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 방안을 마련해 주민의 수용도를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산업부는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신규 일자리 창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차관은 “IoT와 AI, 빅데이터 같은 4차산업 기술을 신재생 발전에 적용해 전력중개사업, 지능형 관리 등 신산업 분야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오는 2020년까지 수만개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신재생 입지규제 완화, 인센티브 확대 등을 준비하고 있다. 산업부는 신재생 발전을 확대하면 전기 요금이 오를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국민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8차전력수급기본계획 등을 짜고 있다”며 “에너지 전환 정책이 환경성과 함께 경제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