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한문 잘 몰라도 '술술'…한국고전선집 5종 나와

고전번역원 퇴계·성호집 등 출간





한문을 잘 모르는 독자들이 옛 선비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집을 재구성해 쓴 ‘한국고전선집’ 5종이 출간됐다. 한국고전번역원이 펴낸 ‘퇴계집’(退溪集), ‘성호집’(星湖集), ‘동춘당집’(同春堂集), ‘허백당시집’(虛白堂詩集), ‘순암집’(順菴集)이다.


이광호 전 연세대 교수가 옮긴 퇴계집은 퇴계 이황(1501∼1570)의 생애를 ‘학문의 길에 들어서다’, ‘벼슬에 나아가다’, ‘산수를 벗하며 강학하다’, ‘교육과 저술에 힘쓰다’ 등 네 시기로 나누고 퇴계 사상의 정수라고 할 만한 작품을 선별해 실었다.

관련기사



성호 이익(1681∼1763)이 집필한 성호집은 최채기 고전번역원 번역사업본부장과 정영미 선임연구원이 함께 번역했다. 율곡과 반계(磻溪) 유형원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독자적인 개혁론을 펼쳤던 성호의 생각을 한 권에 압축했다.

동춘당 송준길(1606∼1672)이 쓴 동춘당집은 사인(私人)으로서의 삶에서도 공의(公義)를 추구했던 한 사대부의 충심을 확인할 수 있는 책이다. 정태현 고전번역원 명예한학교수가 역자로 참가했다. 허백당시집과 순암집에는 ‘용재총화’로 유명한 성현(1439∼1504)과 성호 이익의 제자인 안정복(1712∼1791)의 생애와 사상이 담겼다. 고전번역교육원의 조순희 교수와 이상하 교수가 허백당시집과 순암집을 각각 옮겼다. 각 권 1만2,000원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