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올해 수도권 신규 분양시장…’자이’가 리드했다

수도권, ‘자이’ 청약자 수 10만5311명…3.6명 당 1명 ‘자이’ 선택



올해 수도권 신규 분양시장(공공분양, 임대 제외)에서, 주택수요자들의 선택을 가장 많이 받은 아파트 브랜드는 GS건설의 ‘자이’로 나타났다.

금융결제원에서 발표한 청약결과를 분석해본 결과 1월부터 11월 4주차(11월23일 기준)까지 10대 건설사(2017년 시공능력평가기준, 컨소시시엄 단지 제외)가 수도권 지역에서 분양한 단지의 청약자수(2순위포함)를 살펴보면, 총 29만2000명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평균 경쟁률은 8.9대 1로 나타났다.


브랜드별로 분석해보면, GS건설의 ‘자이’ 브랜드 단지에 10만5311명이 몰리며 10대 건설사 중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SK건설의 ‘SK VIEW’로 4만4966명이 몰리며 ‘자이’의 뒤를 이었다. 3위와 4위는 ▲포스코건설의 ‘더샵’(3만5006명), ▲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2만5310명), ▲5위는 대우건설 ‘푸르지오’(2만4298명)이 차지했다. 이 밖에 ▲6위 롯데건설 ‘롯데캐슬’(2만561명) ▲7위 대림산업 ‘e편한세상’(1만3558명) ▲8위 삼성물산 ‘래미안’(1만3346명) ▲9위 현대건설 ‘힐스테이트’(5837명) ▲10위 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이트’(3801명) 등의 기록을 보였다.

올해 수도권 신규 분양 시장에서 ‘자이’가 독점했다는 것이 업계의 반응이다. 청약자 3.6명 중 1명이 ‘자이’ 아파트에 청약을 접수했다.

공급물량도 GS건설의 ‘자이’가 가장 많았다. GS건설은 11개 단지 1만2878가구를 공급하며 공급물량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포스코건설이 7개 단지, 1만407가구 공급 ▲대림산업 7개 단지, 6737가구 공급 ▲현대산업개발 8개 단지, 5825가구 공급 ▲대우건설 8개 단지, 4679가구 공급 ▲삼성물산 2개 단지, 3293가구 공급 ▲롯데건설 2개 단지, 3051가구 공급 ▲SK건설 3개 단지, 2317가구 ▲현대건설 1개 단지, 1476가구 공급 ▲현대엔지니어링 2개 단지, 759가구를 공급했다.



청약경쟁률에서 알 수 있듯이 수요자들이 주택을 선택하는 데 있어 브랜드의 영향은 크다. 실제로 2000년대 초반 브랜드 아파트 시대가 시작된 이후 10여년이 지난 지금, 브랜드에 따라 아파트 가치가 달라지고 있다. 브랜드에 따라 수 천만원씩 집값이 차이가 나자 입주민들의 요구도 늘어나고 건설사들도 보다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주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 힘입어, GS건설이 12월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2지구 A1블록에서 분양하는 ‘일산자이 2차’ 등 단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관련기사



특히 일산자이 2차의 시행사는 국내 1세대 디벨로퍼 회사인 ‘DSD삼호’다. DSD삼호는 기본적인 인프라스트럭처가 없는 맨땅을 매입해 각종 인프라 등을 구축하며 도시를 새로 만드는 디벨로퍼로 정평이 나 있다. DSD삼호는 용인 수지 LG빌리지, 용인 구성 삼성 래미안, 일산자이 위시티, 부산 해운대 트럼프월드 마린, 동천자이 등 5만여 가구 등을 공급했다.

일산자이 2차가 들어서는 식사지구는, 이미 ‘자이’브랜드 단지가 4000여 가구 입주해 있어, 일산자이 2차가 입주하면 약 5000여 가구의 ‘자이’ 브랜드타운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식사지구 내에서 가장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는 ‘일산자이 위시티’의 후속 단지로, 높은 시세 상승도 기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일산자이 2차는 식사지구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전 가구 중소형 단지로, 전 가구 모두 판상형으로 설계된다. 또한 4베이(일부가구 제외) 및 남향위주 설계로 채광과 통풍도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3면 발코니(일부가구)와 팬트리 설계(일부가구), 알파룸(일부가구) 등도 도입해 공간활용도 높였다.

고급스러운 조경설계는 일산자이2차의 가치를 한 껏 높여줄 것으로 보인다. 일산자이2차 조경설계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니얼 커크우드 교수가 맡았다. 이 교수는 친환경 조경설계의 세계적 거장으로 거론되는 인물이다. 니얼 커크우드 교수는 일산자이2차 단지에 아파트 사이가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물이 흐르는 계곡을 재해석한 테마조경을 선보일 예정이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