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한국 영화 돌파구, 해외 시장·보는 재미서 찾아야

서정 CJ CGV 대표 '2017 CGV 영화산업 미디어포럼'

5년째 연 관람객 2억명 제자리

내년 러시아서 극장 5곳 더 개관

4DX 등 기술혁신 노력 계속해

관객에 영화 이상의 감동 줄 것



“지난 2013년 처음으로 연 관람객 2억명을 넘어선 이래 최근 5년간 정체기를 겪고 있는 한국 영화 시장에 돌파구 마련이 시급합니다. 이를 위해 국내 영화계가 머리를 맞대고 글로벌 시장 진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는 것이 절실합니다.”

서정(사진) CJ CGV(079160) 대표이사는 6일 오후 서울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2017 영화 시장 결산 및 2018년 트렌드 전망’을 주제로 ‘2017 송년 CGV 영화산업 미디어포럼’을 열고 정체기에 돌입한 한국 영화 시장에 대해 이같이 우려를 표했다. 서 대표는 이어 “지난해 말 331개였던 국내 극장 수가 올 11월 현재 352개로 21개나 늘었지만 11월까지 관객은 오히려 지난해에 비해 87만명 줄어든 상태”라며 “이대로라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조금 줄어든 수준에서 올 한 해를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올해 국내 영화 시장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지난해 촛불 정국 등으로 관객 수가 역신장한 가운데 올해 이에 대한 기저효과로 시장이 어느 정도 성장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올해 11월까지 국내 관객 수는 오히려 지난해보다 87만명 줄어들었다.


그는 한국 영화 시장이 침체기에 돌입한 이유로 △OTT(Over The Top·인터넷으로 볼 수 있는 TV 서비스)의 확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확산 △인구 감소 등을 꼽았다. 그러면서 “고객이 영화관을 찾을 수 있는 ‘왜(Why)’를 제시하고 영화관이 ‘영화 그 이상의 감동’을 줄 수 있는 곳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내년에도 극장에서 영화 보는 재미를 더할 수 있는 영화관 기술 혁신에 힘쓰고 더 나은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영화관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새로운 문화와의 접목을 위한 노력도 지속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CJ CGV는 올해 4DX와 스크린X 융합 특별관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고 새로 개관한 CGV용산아이파크몰에 멀티플렉스 세계 최대의 아이맥스관을 개관하는 등 기술적 진화를 주도해왔다. 또 가상현실(VR) 파크, V버스터즈, 만화 카페 ‘롤롤’ 등 VR와 만화산업을 영화관에 접목해 커다란 호응을 얻었다. CJ CGV는 내년에는 다양성 영화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그는 “현재 전국 18개 극장에서 22개 운영 중인 독립·예술영화 전용관 아트하우스를 내년에는 더욱 확대할 예정”이라며 “여기에 고객들이 더욱 독립·예술영화를 접하기 쉽도록 다양한 프로그램도 접목하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국내 시장에서의 성장 정체에 반해 CJ CGV는 해외 시장에서 올해 큰 성과를 거뒀다. 그는 “CJ CGV는 우리 영화의 미래가 글로벌 시장에 있다는 생각을 갖고 한국 극장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며 “이미 진출해 있는 해외 시장에서는 안정적 성장을 추구하고 추가로 해외 진출의 길을 끊임없이 모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올해 CJ CGV가 진출한 6개 해외 국가에서는 극장 수, 관객 수, 매출 등 모든 면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처음으로 CJ CGV의 글로벌 관객 수가 국내 관객 수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외를 합하면 올해 처음으로 연간 관람객 2억명 시대도 열었다.

내년에는 글로벌 시장에서 펼치고 있는 사업들을 더욱 가속화할 방침이다. 그는 “러시아 모스크바에는 내년 12월께 CGV의 이름을 내건 극장이 최소 5개 이상 들어설 예정”이라며 “오는 2020년 모스크바에 총 33개의 극장을 운영하는 1위 극장사업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