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방시혁 "저는 미혼… '방탄소년단 아버지'라 부르지 마세요" 농담에

"아티스트는 누군가 창조하는 것 아니다"며 농담

"2017년은 전세계를 무대로 한 역동적인 서사"

방시혁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대표가 지난 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7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시상식에서 해외진출 유공포상 문화교류 부문 대통령 표창을 받은 뒤 수상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합뉴스방시혁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대표가 지난 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7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시상식에서 해외진출 유공포상 문화교류 부문 대통령 표창을 받은 뒤 수상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방탄소년단의 아버지’로 부르지 말아 주세요.”


‘방탄소년단의 아버지’로 불리는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방시혁(45) 대표가 10일 오후 2시30분 고척스카이돔에서 방탄소년단의 월드투어 파이널 공연에 앞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당부를 해 웃음을 자아냈다. 그는 “아티스트라는 게 누군가가 창조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제가 아버지, 아빠, 이렇게 불리는 순간 마치 방탄소년단이 객체가 되고 제가 만들어냈다는 것이 돼 제 철학과 맞지 않아 불편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방 대표는 “사실 제가 미혼”이라며 농담을 던져 폭소를 자아냈다.

관련기사



그는 지난 1년간 눈부시게 성장한 방탄소년단의 성과에 대해서는 “방탄소년단의 2017년은 전 세계를 무대로 한 역동적인 서사였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방 대표는 “상반기 ‘빌보드 뮤직 어워즈’ 수상이 방탄소년단의 글로벌 팬덤을 확인한 계기였다면, 최근 열린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는 대중성을 높이 평가하는 무대인 만큼 한국 음악이 팝의 본고장에서도 소통할 수 있는 더 큰 가능성을 보게 한 기회였다”고 말했다.

또 그는 “많은 분이 방탄소년단이 지금의 모습으로 성장한 핵심 역량과 전략, 성공 비결을 묻는다”며 “성공을 이야기하기엔 이르고 간결하고 정확하게 답을 내리기도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음악의 진정성과 대중음악이 전달하는 격려와 위로의 힘을 믿었기에 오늘의 가능성을 믿을 수 있었다”면서 “방탄소년단은 진솔한 메시지를 담은 자신만의 이야기를 음악을 통해 들려줬고 동 세대와 교감하고 같은 성장통을 겪으면서 더 단단하게 성장했다”고 강조했다.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한 방 대표는 1997년 유재하 음악경연대회 동상 출신이다. JYP엔터테인먼트 수석 프로듀서로 활동했다. 그간 지오디(god)의 ‘하늘색 풍선’, 비의 ‘나쁜 남자’, 백지영의 ‘총 맞은 것처럼’과 ‘내 귀에 캔디’, 2AM의 ‘죽어도 못 보내’ 등 다수의 히트곡을 낸 작곡가 출신 음반제작자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