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 베이징대 강연은 관례…역대 대통령 방중때마다 中대학 찾아

YS·DJ·MB 베이징대서 강연…盧·朴은 칭화대 찾아

중국을 국빈 방문중인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중국 최고 명문대학중 하나인 칭화(淸華) 대학을 방문,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중 협력’을 주제로 연설한뒤 학생 질문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중국을 국빈 방문중인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중국 최고 명문대학중 하나인 칭화(淸華) 대학을 방문,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중 협력’을 주제로 연설한뒤 학생 질문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대중 대통령이 중국 베이징대 대강당에서 ‘한 · 중 동반자 관계’를 주제로 강연을 마친 후 질문할 학생을 지명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대중 대통령이 중국 베이징대 대강당에서 ‘한 · 중 동반자 관계’를 주제로 강연을 마친 후 질문할 학생을 지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1992년 한중수교 이후 국빈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한 역대 대통령들은 대부분 중국 유수의 대학에서 한중 관계를 주제로 강연했다. 미래의 중국 지도자가 될 젊은이들에게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인상을 심어 향후 한중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역대 대통령들은 중국 대학 중 최고의 명문으로 통하는 베이징대학과 칭화대학에서 강연했다. 베이징대학은 이른바 ‘중국의 서울대’로 불리는 최고의 국립대학이며, 칭화대는 ‘중국의 MIT’로 불리는 이공계 최고 명문대다. 역대 대통령 중 김영삼·김대중·이명박 전 대통령이 국빈 방문 기간 베이징대학에서 강연했으며,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은 칭화대에서 강연했다.


한중 양국이 수교를 맺은 지 불과 1년 반 만에 중국을 국빈 방문한 김영삼 전 대통령은 부인 손명순 여사와 함께 베이징대를 방문해 ‘한중 협력으로 상생의 새 시대를’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했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은 “중국의 강은 대부분 동쪽으로 흐르고 한반도의 강은 대부분 서쪽으로 흐르며 이 물은 모두 황해에서 만난다”며 양국의 교류가 운명적이었음을 강조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1998년 11월 국빈 방중 때 베이징대에서 ‘한중동반자 관계’를 주제로 연설했다. 베이징대 교수와 학생 1,000여 명이 참석해 김 전 대통령의 강의에 귀를 기울였고 연설 도중 열다섯 차례 박수가 터져 나왔다.

관련기사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강연 주제는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중 협력’이었다. 노 전 대통령은 칭화대를 방문해 “지난날 동북아는 대립과 갈등의 역사를 되풀이해왔지만, 이제는 동북아 역사가 바뀌어야 한다”며 “협력과 통합, 평화와 번영의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2008년 5월 중국을 국빈 방문한 이명박 전 대통령은 한중 간의 바람직한 관계와 함께 인생의 선배로서 자신의 성공스토리를 솔직담백하게 들려주며 중국 대학생들과 교감을 가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3년 방중 때 칭화대를 찾아 ‘새로운 20년을 여는 한중 신뢰의 여정’을 주제로 연설했다. 박 전 대통령은 중국 고전인 관자(菅子)와 중용, 제갈량의 고사 등 중국 고사성어를 인용하며 한중간 신뢰와 우의의 구축을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13일부터 3박 4일간 예정된 중국 국빈 방문에서 베이징대 연단에 선다. 노무현 전 대통령 때부터 문 대통령까지 4명의 대통령이 베이징대와 칭화대를 번갈아 찾는 셈이다.

/손샛별인턴기자 setja@sedaily.com

손샛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