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숨진 미숙아 3명서 세균 검출...병원내 집단감염 가능성

면역력 약한 미숙아엔 치명적

정확한 균종 이르면 20일 확인

"3명서 같은 균종 나와야 집단감염"

1차 부검 국과수 "사인 특정못해"

신생아 4명이 잇따라 숨진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의 관계자들이 18일 병원 안에 설치됐던 ‘임산부의 날’ 대통령 표창 현수막을 철거하고 있다. /연합뉴스신생아 4명이 잇따라 숨진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의 관계자들이 18일 병원 안에 설치됐던 ‘임산부의 날’ 대통령 표창 현수막을 철거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했다가 사망한 미숙아 4명 중 3명이 세균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병원 측은 감염에 의한 사망 가능성을 부인한 바 있어 결과에 따라 의료과실 문제로 귀결될 수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질병관리본부는 18일 “신생아 중환자실 의사가 지난 16일 밤 사망한 신생아 4명 중 3명에 대해 사망 전인 오후3시께 혈액배양검사를 지시했는데 혈액을 살펴본 결과 세균감염이 의심돼 배양검사를 진행 중”이라며 “정확한 균종은 이르면 오는 20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의사가 이 검사를 지시한 것은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는 증상이 세균감염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검사에는 수일이 걸린다. 질병관리본부는 다른 병원으로 옮겼거나 퇴원한 미숙아 12명에 대해서도 모니터링 중이며 세균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배양검사를 할 계획이다.


홍정익 질병관리본부 위기대응총괄과장은 “숨진 3명의 미숙아 혈액에서 그람음성균으로 분류되는 세균이 자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중요한 것은 음성균·양성균 구분이 아니라 세균이 검출됐다는 사실 자체며 병원 내 집단감염이라면 3명의 균종이 같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준동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도 “면역력이 떨어진 미숙아 생태에서는 어떤 균종이든 세균감염 자체가 아이한테 치명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세균은 그람염색 때 붉은색을 띠는 살모넬라균·이질균·대장균·콜레라균·수막염균 등 그람음성균과 보라색을 띠는 디프테리아균·파상풍균·폐렴균·포도상구균 등 그람양성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력한 사망원인 중 하나인 괴사성 장염의 경우 손상된 대장 등의 점막을 통해 대장균 같은 세균이 혈액 안으로 침입한다.

세균감염은 그러잖아도 면역력이 떨어지는 미숙아에게 폐렴·패혈증 등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철저한 예방·감시와 처치가 요구된다. 하지만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실에서는 15일 로타바이러스 확진 환자가 나왔다. 장염을 일으키는 로타 바이러스는 분변이나 침, 오염된 손 등을 통해 감염된다. 이 병원에서 아기를 낳은 산모들 사이에서는 “신생아실에서 기저귀를 갈아준 손으로 아기 입에 공갈 꼭지를 물리는 등 위생 상태가 부실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반면 이대목동병원 의사가 숨진 4명 중 1명의 미숙아에 대해서는 혈액배양검사를 지시하지 않았고 4명이 81분 새 동시다발적으로 숨진 것을 세균 감염만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감염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의심되지만 사망 시간대가 다르고 1명은 혈액배양검사 대상이 아니어서 현 단계에서는 원인 추정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날 1차 부검에 들어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모든 아기들에게서 소·대장의 가스팽창이 육안으로 관찰되지만 사망 원인을 특정할 수 없었다”며 “장염 등의 정밀한 진단은 조직현미경 검사, 검사물에 대한 정밀감정을 추가로 진행한 후 판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임웅재·박진용기자 jaelim@sedaily.com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