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1987' 김윤석부터 설경구까지..쇠사슬처럼 얽힌 '인물관계도'

영화 <1987>(감독 장준환)이 서로 맞물려 이어가는 톱니바퀴처럼 각자의 역할을 해내며 뜨거웠던 시간을 만들어낸 사람들의 인물관계도를 공개했다.

사진=CJ엔터테인먼트사진=CJ엔터테인먼트





1987년 1월, 스물두 살 대학생이 경찰 조사 도중 사망하고 사건의 진상이 은폐되자, 진실을 밝히기 위해 용기냈던 사람들의 가슴뛰는 이야기를 다룬 <1987>이 영화 속 인물들의 얽히고설킨 인물관계도를 공개했다. 공개된 관계도는 1987년, 각자의 자리에서 서로 다른 선택을 했던 인물들 간의 관계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1987년 1월, 경찰 조사를 받던 한 대학생이 고문으로 사망하게 되면서 <1987> 속 시간은 시작된다. 하루 아침에 공권력에 의해 소중한 아들과 조카를 잃은 아버지(김종수)와 삼촌(조우진)의 모습은 보는 이들의 가슴을 울릴 예정이다.

막강한 공권력으로 사건 은폐를 지시하는 대공수사처 ‘박처장’(김윤석)과 이에 맞서 화장 동의를 거부하고 시신 부검을 밀어붙이는 서울지검 ‘최검사’(하정우). 사건의 진실을 둘러싼 두 사람의 팽팽한 대립은 극 초반의 에너지를 이끌며, 관객들이 사건에 완전히 빠져들게 만든다.

상관의 지시를 충실히 이행하며 사건 축소기도에 동원되는 대공수사처 ‘조반장’(박희순)은 늘 “받들겠습니다”라는 간결하지만 강렬한 대답으로 ‘박처장’에 대한 강한 충성심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박처장’의 뒤를 봐주는 정권실세 안기부 ‘장부장’(문성근)과 당시 경찰총수인 치안본부 ‘강본부장’(우현)은 사건 은폐가 생각대로 되지 않자 ‘박처장’에게 사건의 책임질 것을 지시하고 압박하며 극에 긴장감을 더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한편, 영등포 교도소에서 일하는 교도관 ‘한병용’(유해진)은 수감 중인 민주화 운동 인사 ‘이부영’(김의성)과 도피 중인 재야인사 ‘김정남’(설경구) 사이에서 비밀 서신을 배달하는 모습을 통해 세상에 진실을 알리는 데 조금이라도 힘을 보탰던 평범한 사람들의 용기를 설득력있게 보여줄 것이다.

검문에 곧잘 걸리는 삼촌 ‘한병용’의 부탁으로 종종 비밀 서신 배달을 했던 87학번 신입생 ‘연희’(김태리). 권력에 맞서는 사람들의 선택이 옳다는 것을 알지만, 저항했던 이들과 그 가족의 아픔을 잘 알기에 쉽사리 나설 수 없었던 당시의 보편적인 시민을 대변하는 인물로, 지금의 관객들을 1987년의 시간의 한 가운데로 이끌 예정이다.

또한 사회부 ‘윤기자’(이희준)와 유력 일간지 사회부장(오달수, 고창석)은 조사받던 도중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말도 안되는 경찰의 발표를 듣고, 사건의 진실을 끈질기게 파헤치는 모습을 통해 <1987>이 전하고자 하는 묵직한 감동을 더욱 극대화시킨다.

김윤석을 비롯,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이희준 등 믿고 보는 명배우들의 연기 앙상블로 영화의 완성도를 더한 <1987>은 단 한 명이라도 다른 선택을 했다면 불가능했을 격동의 시간을 만들어낸 인물들의 얽히고설킨 관계를 드라마틱하게 그려내며 오늘을 살아가는 관객들에게 묵직한 울림을 선사할 것이다.

<1987>은 12월 27일 개봉.

/서경스타 한해선기자 sestar@sedaily.com

한해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