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국서 7.3 규모 지진 날 수 있다"

'국내 지진학 1호 박사' 이기화 교수 전경련 지진대응 세미나

"일본 기술·노하우 참고

국가적 차원 대책 수립

생산시설 내진설계해야"



이기화 서울대 명예교수가 19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일본의 지진 대응 노하우와 시사점’ 세미나에서 한국 내 지진활동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전경련

국내에서 최대 7.3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정부와 기업이 일본의 사례를 참고해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내 지진학 1호 박사인 이기화 서울대 명예교수는 19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일본의 지진 대응 노하우와 시사점’ 세미나에서 “한반도에서 지진활동이 지난 2014년 이후 활발해지고 있으며 지진 패턴도 올해 포항 사례와 같이 대규모의 피해를 양산할 수 있는 단층면의 상하 이동을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한반도에서의 지진은 불규칙한 패턴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은 불가능하지만 포항과 경주 지진이 발생한 양산단층대의 어느 지점에서라도 광범위한 지진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최대 규모는 7.3까지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세미나를 주최한 권태신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은 “한국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에도 지진에 대비한 준비가 매우 미흡하다”며 “정부는 일본의 기술과 노하우를 참고해 전 국가적 차원의 지진 대응 종합 플랜을 세우고 기업은 생산시설의 지진 대응 설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전경련과 일본 게이단렌 21세기정책연구소의 공동 주최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는 일본의 최신 지진 대응 건축 기술과 적용 사례도 소개됐다. 일본 최대의 건설사인 다이세이건설 설계본부의 호소자와 오사무 부본부장은 “일본 건축물은 내진 설계가 기본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거대한 지진에 대응하기 위한 제진 설계(건물 골조 요소요소에 설치된 장치가 지진의 충격을 흡수하는 방식)와 면진 설계(특수고무 등을 설치해 지진 시 흔들리는 힘이 직접 전해지는 것을 막는 방식)가 적용되는 건축물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제진 설계는 초고층 빌딩 등 중요 건물에 적용되고 있으며 재난 방지 거점 건물이나 병원 등 매우 중요한 시설에는 면진 설계가 쓰이고 있다.

그는 “일본 정부는 특정 규모 이상의 병원, 유치원, 광역지방자치단체 지정 청사, 대피소 등 재난방지 거점, 긴급 대피로에 있는 건축물 등에는 내진 진단을 의무화하고 있다”며 “정부가 관련 비용 일부를 부담하는 등 국가 차원에서 지진 대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쓰이스미토모 해상화재보험그룹 인터리스크종합연구소의 혼다 시게키 특별연구원은 “지진은 일단 발생하면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이므로 사전에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지진 전에는 내진 진단, 발생 시에는 초동 대응, 발생 후에는 재난 시 기업 연속성 유지계획(BCP)에 집중해야 한다”면서 “기업의 지진 대책을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챙겨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