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방만 경영 등 문제 많은 부산 버스준공영제, 혁신하라”

한 해 1,000억원 넘게 들어가는 부산 버스준공영제에 대해 방만 경영과 예산 낭비 요인이 많다며 혁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전진영(국민의당 비례대표) 부산시의회 의원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부산·경남 지역 버스지부는 19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0년간 버스 준공영제에 지원된 혈세가 1조원이 넘으나 노선정책의 실패로 수송 분담률 감소를 가져왔고 부산시의 관리 감독소홀로 업체의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재정지원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부산시 버스준공영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먼저 버스업체 임원진들에 지급되는 과도한 연봉 문제를 꼽았다. 이들은 업체 임원의 평균 연봉은 2015년 1억5,000만원, 2016년 1억4,000300만원에 달한다며, 일부 업체 대표이사의 연봉은 2억7,000만원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문제로는 이들 임원 중 상당수가 부자지간이나 형제지간으로 족벌 경영체제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특히 버스조합이 내야 할 조합비인 연간 38억원 가량을 표준운송 원가에 반영하고 있으며, 실제 운행을 하지 않는 예비차량에 대해서도 실제 운행하는 버스와 똑같이 표준운송원가를 적용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업체의 관리직원도 터무니없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전 의원과 노조는 이 같은 점을 근거로 들어 방만한 경영과 예산낭비를 지적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버스준공영제 표준운송 원가 용역 매년 실시 △임원과 관리직 인건비, 기타 관리비 등 세부 집행 내역 정산 의무화 △버스회사 임원 최고 연봉 한도액 제한 △관리직원 채용 기준 마련 △버스운송 수입금 일일 정산관리 업무, 부산시 이전 등을 촉구했다. 전 의원은 “부산시가 버스회사 감독 관리에 손을 놓고 있다”며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는 버스가 될 수 있도록 운영체제를 혁신하고 관리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