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AIST 출신 공수현 박사, 빛의 방향으로 반도체 내부 스핀 제어기술 개발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에 응용 가능성…사이언스誌 게재

공수현 델프트공대 박사후 연구원공수현 델프트공대 박사후 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졸업생인 공수현 박사(델프트공대 연구원)이 빛의 방향을 이용해 반도체 내부의 스핀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공 박사의 연구 성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사이언스’ 26일자에 게재됐다.

반도체 내부의 전자는 스핀이라는 양자 상태를 갖는다. 양자 상태를 이용하면 더욱 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전자소자를 개발할 수 있지만 기존의 반도체 스핀 소자는 상온에서 스핀 정보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공 박사는 반도체의 스핀 상태와 빛의 방향이 일대일로 연결된 소자를 개발했다. 반도체 속 스핀 회전이 반대방향이 되면 빛의 방향도 반대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빛의 방향만으로 반도체 스핀 정보를 제어할 수 있는 원리다.

빛은 주변 환경에 대해 매우 안정적이기 때문에 반도체 스핀 정보를 빛으로 전환시켜주면 먼 거리에서도 스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 수백나노미터 지름의 금속 나노막대를 이용하면 빛의 파장보다 더 작은 영역에 빛을 집속시킬 수 있고 이 빛은 금속 나노막대를 따라 진행된다. 금속 나노막대 근처에서는 빛의 편광 방향이 회전을 하는 광학 스핀을 형성하고, 빛의 진행 방향을 바꾸면 광학 스핀의 회전 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 때 생기는 광학 스핀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도체 속 스핀과 상호작용한다. 스핀 방향은 유지한 채 빛의 스핀이 반도체 스핀으로 전환되거나 그 반대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스핀 회전 방향도 빛의 진행 방향으로 일대일 전환이 돼 빛의 경로를 이용해 반도체 스핀 정보를 제어하고 통신할 수 있는 새 개념의 스핀네트워크 소재를 개발할 수 있다.

관련기사



금속 나노막대와 2차원 반도체 결합 구조금속 나노막대와 2차원 반도체 결합 구조


공 박사는 실험을 통해 2차원 반도체 물질인 이황화텅스텐 박막을 이용, 2차원 반도체 스핀 정보가 90% 이상의 효율로 빛의 방향정보로 전환되는 것을 증명했다.

공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상온에서 자기장 없이도 반도체의 스핀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향후 스핀관련 연구 및 소자에 활용할 수 있다”며 “궁극적으로 양자화된 빛인 광자를 이용해 반도체의 단일 스핀을 조절해 양자컴퓨팅 개발에 응용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공 박사는 2015년 KAIST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카블리 나노과학연구소 그룹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