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전국 이디야 카페 매출 분석해보니...서울은 '커피', 부산은 '차', 제주는 '주스'



지역별로 카페에서 자주 마시는 음료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의 커피 선호도가 다른 곳보다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지역에서는 티(Tea) 음료 판매가 잘 됐고, 제주에서는 카페인이 들어있지 않은 논커피 음료를 찾는 사람들이 많았다.

26일 이디야커피에 따르면 전국 2,200개 매장의 2017년 연간 음료 판매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별 음료 선호도를 분석했더니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서울은 타 지역에 비해 커피 음료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전체 메뉴 중 커피 음료 점유율이 60%를 넘은 곳은 서울이 유일하다. 서울의 커피 음료 점유율은 전국 평균 점유율보다 10% 높았다. 또한 추가로 에스프레소 샷을 주문하는 비중도 가장 높았다. 해당 수치 또한 전국 평균 대비 10% 더 높았다.


부산은 티(tea) 메뉴에 대한 선호도가 타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부산의 티 음료 판매 비중은 전국 평균대비 약 20% 높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유자차 등 과일청 기반의 티(tea)나 과일청과 다양한 허브, 과일을 조합한 ‘이디야 블렌딩티’ 신메뉴가 높은 판매량 순위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국내 대표 휴양지로 꼽히는 제주에서는 카페인이 들어있지 않은 논커피(Non-Coffee) 음료를 찾는 사람들이 많았다. 플랫치노, 에이드, 과일주스, 쉐이크 등 논커피 메뉴군의 점유율이 전국 평균 대비 가장 높았다. 각 메뉴군 별로 전국 평균 대비 최소 20%에서 최대 40% 가량 높았다. 반면, 커피 메뉴 점유율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40%대에 그쳤다.

충청, 강원 지역의 각 메뉴군 별 점유율은 전체적으로 전국 평균에 가까운 고른 분포를 보였다. 충청에서는 전체 7개 음료 메뉴군 중 티(tea), 에이드, 과일주스 3개 메뉴군의 점유율 수치가 전국 평균과 동일했다. 나머지 4개 메뉴군의 점유율도 전국 평균과 최소 0.1% 포인트에서 최대 0.7% 포인트 밖에 차이 나지 않았다. 강원에서는 베버리지 메뉴군의 점유율 수치가 전국 평균과 동일했다. 나머지 메뉴군의 전국 평균과의 차이는 0.1%포인트에서 최대 0.5%포인트에 그쳤다.

이디야커피 관계자는 “전국 곳곳에 2,200개의 매장을 둔 만큼 제품을 출시한 후 지역 소비자의 취향이 어떻게 다른지 바로 알 수 있게 된다. 앞으로 전국의 모든 소비자들에게 사랑 받는 제품을 개발하면서도 지역별 성향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모션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