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K2 내구도 충족 못한 것은, 국방규격의 제정과정 오류가 결정적 원인”

지난 7일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결정한 ‘K2 전차 2차 양산 사업에 수입 변속기를 적용한다’는 내용과 관련해 S&T중공업이 반발하고 나섰다. 8일 S&T중공업이 낸 보도자료를 보면 지난 2016년 1월부터 시행된 6차례의 내구도 시험을 충족하지 못한 것은 국방규격의 제정과정의 오류가 결정적 원인이라고 강조했다. 국산변속기는 10년에 걸친 개발 및 시험평가 과정에서 ‘내구도 결함 없이 320시간 내구도 시험을 수행’의 내구도 시험평가 기준에 따라 통합평가를 통과하고 군사용적합 판정까지 받았는데, 2014년 12월 제정된 양산 국방규격은 ‘320시간 내구도 시험을 수행했을 때 결함이 없을 것’으로 바뀌면서 문제가 불거졌다는 것이다.


S&T중공업은 개발단계에서 허용됐던 고장항목이 삭제됨으로써 기계공학상 실현 불가능한 요구가, 양산 시 내구도 검사 기준으로 뒤바뀌었음을 지적했다. 또 서울대, KAIST, 한양대 등 7개 국내 대학과 한국자동차공학한림원의 저명한 기계공학 교수로부터 자문을 받은 결과도 현재 규격으로는 실현 불가능하다는 것을 분명히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6년 11월 관련기관과 업체가 현재 국방규격의 불합리한 문제 인식을 기초로 결함의 분류를 통한 연속시험 또는 재시험을 주요 내용으로 한 ‘K2전차 국산 변속기 내구도 시험 수행방안’을 새로이 제정하면서 현행 국방규격을 변경 적용키로 합의한 이후, 내구도 시험 과정에서 관련기관이 일방적으로 폐기한 것도 문제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S&T중공업은 특히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변속기 제작업체가 내구도 재검사를 거부함에 따라 수입 변속기 적용을 결정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며, 실현 불가능한 국방규격 기준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최소한 관련기관과 업체가 내구도 시험 변경에 합의한 기준만이라도 적용해 줄 것을 요청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번 K2전차 변속기의 수입 결정으로 S&T중공업는 양산 중인 원자재, 부품 등 약 1,000억원의 손실을 예상했다. 이에 따라 S&T중공업은 긴급 비상경영체제를 선언하고 임원, 팀장 연봉 자진 반납과 근로자 휴직 등 고강도 자구책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