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내일 평양行 떠나는 대북특사단은 어떤 인물?

정의용, 백악관과 직접 소통 가능한 '미국통'

서훈·김상균은 남북정상회담 참여한 '대북통'

천해성, 남북회담 참여 등 실무경험 많아

윤건영, 문대통령 의중 北에 전달할 최측근

5일 방북하는 대북특별사절단 명단/연합뉴스5일 방북하는 대북특별사절단 명단/연합뉴스


문재인 정부의 첫 대북특별사절단 명단이 발표됐다. 장관급 2명을 동시에 보내는 등 정부가 대북특사단에 각별한 신경을 쓴 만큼 특사단 구성원의 면면에 관심이 모아진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4일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문재인 대통령이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수석특별사절로 하는 특사단을 북한에 파견하기로 했다”며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윤건영 국정상황실장 등 5명으로 구성됐다”고 밝혔다. 특사단은 실무진 5명까지 포함해 총 10명이다. 이들은 5일 오후 특별기를 타고 서해 직항로로 방북해 평양에서 1박 2일 동안 머문 뒤 6일 돌아온다.

대북특별사절단 수석으로 파견되는 정의용 실장은 대북 협상 결과를 백악관과 공유하는 핵심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정 실장은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 등 백악관 안보 핵심라인과 직접 소통이 가능한 인물이다.


서훈 국정원장의 경우 2000년과 2007년 두 차례 남북정상회담 당시 대북 협상에 깊숙이 관여한 대북전략통으로 꼽힌다. 서 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인 마이크 폼페오 중앙정보국(CIA) 국장과 긴밀한 소통채널을 유지하고 있기도 하다. 특사단 중 정 실장과 서 원장은 방북 결과를 전달하기 위해 미국을 찾는다.

관련기사



천해성 차관은 대북 실무 경험이 많은 베테랑이다. 천 차관은 지난 2005년 서울과 평양에서 각각 열린 남북 장관급 회담을 비롯해 각종 회담에 대표로 참여한 전력이 있다. 2006년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 방북 관련 실무접촉에도 참여했다. 2014년 10월 당시 황병서 총정치국장 겸 국방위원회 부위원장과 최룡해 노동당 비서, 김양건 통일전선부장 겸 대남담당 비서가 인천을 방문했을 때도 우리 측 대표로 참석했다.

김상균 2차장 역시 대표적인 대북통으로 평가된다. 김 2차장은 국정원 대북전략부서에서 근무하며 1, 2차 남북정상회담 때 실무를 담당했다. 얼마 전 평창 동계올림픽 때는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위원장의 특사로 방남한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을 전담마크했다. 김 2차장은 평창올릭픽 기간 한국에 머문 것으로 확인된 맹경일 노동당 통일전선부 부부장과 비밀리에 접촉했다고 알려지기도 했다. 김 2차장은 이번 방북 때도 맹경일 통전부 부부장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윤 실장은 문재인 대통령을 19대 총선 때부터 보좌한 인물로 문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된다. 대북통은 아니지만 문 대통령의 복심으로 문 대통령의 의중을 한치의 오차 없이 전달하는 역할을 부여받았다고 전해진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윤 실장은 (특사단 수석인)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보좌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윤 실장은 전체적으로 국내 상황뿐만 아니라 남북 간 상황도 관리해 온 만큼 대표단에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