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현백 여가부 장관 “미투 운동으로 변화의 바람 강해져”

정현백 여성부 장관이 7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미투 공감 소통 제1차 간담회’에서 여성계 관계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정현백 여성부 장관이 7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미투 공감 소통 제1차 간담회’에서 여성계 관계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이 최근 사회 각계로 퍼지는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과 관련해 “성폭력 생존자와 조력자를 비롯한 많은 여성이 서로 공감하고 연대해 변화의 바람이 점점 더 강력해지고 있다”며 “정부는 지속적으로 대책을 점검하고 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6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문화예술계 관계자들과 개최한 ‘미투 공감·소통 제1차 간담회’에서 “2016년 문단 내 성폭력 해시태그 운동에서 시작된 문화예술계 성폭력에 대한 공론화는 이제 사회 전 분야의 미투 운동으로 확산되고 있다”면서 “이런 흐름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함께 해주신 여러분께 감사와 경의를 표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정부도 변화를 향한 목소리에 답하기 위해 기존 정책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문화예술계를 포함한 민간부문의 성희롱·성폭력 근절대책을 곧 발표할 것이다”고 전했다.


또 “문화예술계 내에서도 문학계, 연극계, 영화계 등 분야별로 성희롱·성폭력이 발생하는 양상은 다양할 것이다”며 “문화예술계 관계자들이 현장에서 경험한 어려움을 향후 대책을 보완하는 과정에서 적극 반영하겠다”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이성미 여성문화예술연합 대표는 “문화예술계는 공공부문과 성격이 다르다”며 “문화체육관광부 주도로 신고창구를 마련하고 신고·제재까지 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선경 변호사는 “문화예술계 성폭력 가해자가 가지는 독점적 권력과 폭력 문제는 경제적 자원 문제와 연계돼 있다”며 “정부의 정부의 공적기금이 공정하게 배분될 수 있도록 감시 체계 마련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는 ‘미투 운동’과 관련해 각 분야 실상을 파악하고 성폭력 방지 정책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정 장관은 앞으로 노동계, 교육계 등 분야별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