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美, 사우디원전 수주전에 재 뿌리나

압도적 기술력·안전성에

UAE원군까지 얻었지만

트럼프에 영향력 막강한

美 유대자본 반발이 변수

한국이 건설한 UAE 바라카 원전 전경한국이 건설한 UAE 바라카 원전 전경



20조원 규모의 사우디아라비아 원전 수주전 본격화를 앞두고 물밑에서 각국의 ‘합종연횡’도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 정부는 4월께 예정된 ‘쇼트리스트(Short-List, 예비사업자)’ 발표를 앞두고 아랍에미리트(UAE) 원군을 얻은 데 이어 몰락한 웨스팅하우스의 재건을 꿈꾸는 미국과 협력도 시사했다. 다만 미국내 유대계의 강력한 반발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9일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세종 정부청사 인근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사우디에서 굉장히 우리 기술에 관심이 많다. 전망이 밝다”면서도 “쇼트리스트에 들어가고 나면 컨소시엄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음 출장은 미국”이라며 “(사우디에) 독자적으로 갈 수 있지만 미국의 원전 서플라이 체인 등과도 전략적으로 협력 관계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사우디는 지난해 말 각국이 1차로 제출한 상용 원전에 대한 기술정보요구서(RFI) 답변서를 바탕으로 4월께 쇼트리스트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프랑스 등 6개국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쇼트 리스트엔 최종적으로 2~3개국이 포함된다.

한국이 2개~3개국으로 압축되는 쇼트리스트에 포함될 것이란 전망에 대해서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이견이 없다. 가장 큰 이유는 기술력과 안정성이다. 우리나라가 세계최초의 상용화한 3세대 원전인 APR-1400은 2016년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 심사 3단계를 통과했다. 미국에서 자국을 제외하고 이 인증을 받게 되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지난해엔 APR-1400의 유럽형 수출형 모델인 EU-APR이 유럽사업자요건(EUR) 인증 본심사도 통과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인 2012년에 새로 마련된 유럽의 안전기준을 충족한 것은 한국이 유일하다.


원전 건설 경험과 이로 인한 공기 단축에 따른 가격 경쟁력도 압도적이다. 백 장관은 “바라카원전을 건설할 때 처음 설계에서 8100번의 설계 변경이 있었다, 사막에서 예상치 못한 변수를 이겨내고 성공했고 어떤 기업도 그렇게 하지 못할 것”이라며 “여기에 (사우디) 장관이 매혹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우리나라는 또 이미 사우디 원전 수주와 관련해 이웃 형제국가인 아랍에미리트(UAE)를 원군으로 확보한 상황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 UAE 순방 때 사우디 원전 수주를 위한 ‘협력’ 약속을 받은 바 있다.

가장 큰 걸림돌로 꼽혔던 미국과의 컨소시엄이 꾸려지게 되면 우리나라의 사우디 원전 수주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외신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 원전산업 재건을 목표로 사우디에 우라늄 농축을 허용하는 대신 원전 수주를 얻어내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현재 미국은 사우디와 원자력 협정을 진행 중이다. 이달 모하메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와 회담을 갖기도 했다.

다만 산업부는 미국과의 컨소시엄 여부 결정은 쇼트 리스트가 발표된 뒤에나 다뤄질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산업부의 한 핵심 관계자는 “쇼트 리스트 발표 이전까지 컨소시엄 등을 얘기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며 “발표 이후 각국이 본격적으로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변수는 중동의 정치 지형이다. 이스라엘과 중동의 패자 자리를 놓고 다투는 사우디에 우라늄 농축을 허용할 경우 미국 내 유대인계 세력의 반발이 커질 수 있다. 유대인계는 트럼프의 정치적 기반으로 알려졌다. 사위 재러드 쿠슈터 백악관 고문도 유대인이다. 유대계의 반대로 미국과의 원자력 협정 타결이 무산될 경우 한미 원자력 협정에 따라 우리의 사우디 원전 수출길도 막히게 된다. /박형윤기자 세종=김상훈 manis@sedaily.com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