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서울경제TV] '카풀부터 카톡 택시까지’ 택시와 충돌하는 4차산업 왜?



[앵커]

최근 IT 업계와 택시업계와의 충돌이 잦습니다. 카풀 서비스에 반대하고 나선데 이어 카카오택시 유료화에도 반발하고 있는데요. 왜 자꾸 택시업계와 갈등이 생기게 되는걸까요. 이보경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출퇴근 방향이 같은 사람들끼리 자동차를 같이 탈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카풀앱, 택시업계는 불법자가용 유상운송행위에 해당한다며 반발합니다.

카카오가 택시 호출 어플인 카카오택시를 유료화하겠다고 나서자 택시업계는 콜비를 철회하라며 성명서를 냅니다.

[인터뷰]이광형 / 서울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이사

공유경제라는 이름을 표방을 해서 영업을 침해하는 것은 어떤 방법으로 생각을 해도 공유하거나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렇듯 최근 IT업계와 택시업계와의 충돌이 잦아지고 있습니다.

왜일까.

4차 산업혁명시대에 자동차의 개념이 바뀌면서 IT 업계의 관심이 ‘이동 수단’에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필수 / 대림대학교 자동차과 교수

관련기사



차에 대한 모든 것이 단순한 이동수단에서 움직이는 생활공간으로 바뀌고 있거든요. 움직이는 가전제품, 바퀴 달린 휴대폰 이런 개념도 나올 정도니까…

IT 업계는 이동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어느 지역에 어느 시간대에 몰리는지 등 이동에 관련한 모든 빅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게 되고 향후 자율주행차를 비롯한 다양한 사업에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이동수단의 개념이 변화해나감에 따라 기존 업계와의 충돌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이런 갈등을 어떻게 풀어가야 하나에 관심이 모입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 후생을 보라고 조언합니다.

[인터뷰]이민화 / 카이스트 교수

산업계를 보지 말고 소비자의 후생을 보라는 거에요. 소비자 입장에서 어느 게 더 소비자에게 유리한가…

4차산업혁명이라는 변화의 물결 속 정부의 장기전 비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영상취재 장명석 / 영상편집 김지현]

이보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