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시리 탄생시킨 김윤 "사람냄새 나는 AI기술 선보일 것"

김윤 SKT AI리서치센터장

인간 없으면 AI 자체가 무의미

사회 기대 비해 AI상용화 더뎌

계속 노력해야 윤곽 잡힐 듯

김윤 SK텔레콤 AI리서치센터장이 4일 서울 중구 을지로 삼화타워에서 열린 ‘뉴 ICT 포럼’에서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윤 SK텔레콤 AI리서치센터장이 4일 서울 중구 을지로 삼화타워에서 열린 ‘뉴 ICT 포럼’에서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간에 도움을 주는 AI(인공지능) 기술, 세상을 바꿀 AI 기술을 만들고 싶습니다.”

애플의 AI 음성비서 ‘시리(Siri)’ 개발 총괄에서 SK텔레콤의 AI리서치센터장으로 변신한 김윤 센터장은 4일 서울 을지로 삼화타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람이 중심이 되는 AI 기술을 선보이겠다”며 이 같이 강조했다.


김 센터장은 머신러닝(기계학습) 전문가로 애플 음성인식 개발 팀장과 AI 스피커 ‘홈팟’의 음성비서 개발 총괄을 역임했다. 지난 2월 SK텔레콤의 초대 AI리서치센터장으로 부임했다.

그는 AI 기술에 대해 설명하며 ‘인간 중심 접근’을 강조했다. 김 센터장은 “사람이 없으면 AI 자체가 무의미하다”며 “사람과 기계가 서로 발전과 소통을 통해 같이 진화하는 모습을 그려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애플에서 SK텔레콤에 합류한 이유도 비슷한 이유였다. 그는 “SK텔레콤은 인간중심의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구성원의 행복을 중요시하며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달성하기 위한 패기가 기업 문화에 녹여져 있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의 최대 자산으로는 풍부한 사용자 데이터를 꼽았다. 김 센터장은 “AI라는 몸에 맑은 피를 공급하는 것이 데이터”라며 “SK텔레콤에 모이는 데이터는 국내 최고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네트워크, 위치, 성향 데이터 등 포털이 갖고 있지 않은 데이터가 많다는 것이다.

다만 한국의 AI 기술 수준과 관련해선 김 센터장은 “사회적인 관심은 높지만 아직 상용화는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해외를 봐도 사용자들의 가려운 곳을 다 긁어줄만한 제품은 나오지 않았고 수년간 노력이 계속되어야 윤곽이 잡힐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 센터장이 이끄는 AI리서치센터는 현재 30명 정도 규모이지만 연말까지 60명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 센터장은 “AI를 모르더라도, 머신러닝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관심을 갖고 있고 소프트웨어 능력이 탁월한 분들을 찾고 있다”고 강조했다.

성과물을 언제쯤 볼 수 있냐는 질문에 김 센터장은 “성과보다는 어떤 씨앗을 심느냐가 중요하다”라며 “씨앗을 잘 심고 좋은 사람들이 오고 좋은 생각이 모이면 언젠가는 성과가 날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대한민국의 상황에 맞는 AI 기술에 선택적으로 집중해서 투자해야만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