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재활용품 3분의 1이 폐비닐…"일회용 비닐봉지 줄여야"

서초구, 비닐봉지 배출 1위…서대문구·구로구가 뒤이어

서울시 “일회용 비닐봉지 사용 줄여야”

재활용품 수거 업체들이 비닐과 스티로폼 수거를 중단하겠다고 예고한 1일 오전 서울의 한 아파트 쓰레기수거장에 비닐과 페트병 배출에 대한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재활용품 수거 업체들이 비닐과 스티로폼 수거를 중단하겠다고 예고한 1일 오전 서울의 한 아파트 쓰레기수거장에 비닐과 페트병 배출에 대한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서울 시내에서 분리수거되는 재활용품 가운데 폐비닐이 3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서울시가 발표한 ‘재활용품 종량제 수거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5년 한 해 동안 서울 시내에서 수거된 종이·고철·유리병·캔·플라스틱·비닐봉지 등 재활용품은 총 20만3,971t에 달했다. 이 중에서 자치구 등 자치단체가 거둬들인 양은 6만4,838t, 대행업체가 수거한 양은 13만9,133t이었다.

이 가운데 비닐봉투류가 5만9,189t을 기록해 전체 재활용품 가운데 가장 많은 29%를 차지했다. 이어 유리병 3만7,819t·플라스틱 2만4,469t·종이류 1만9,255t·캔류 6,082t 등이 뒤따랐고, ‘기타’ 물품은 4만8,329t이었다.


비닐봉투류라는 단일물품이 전체 재활용품 가운데 3분의 1 가까이 차지한다는 점에서 최근 불거진 ‘비닐 수거 중단’ 사태는 주민 생활과 재활용품 업계 전체에 큰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마포구가 2만523t으로 가장 많은 재활용품이 수거됐으며, 광진구 1만4,179t, 양천구 1만2,430t, 성북구 1만2,268t, 종로구 1만646t, 서초구 1만474t, 강남구 1만4t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인구가 많은 자치구일수록 재활용품 분리수거량이 많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른 수치다. 지난해 자치구별 주민등록 인구 순위는 송파구(67만1,173명), 강서구(60만8,255명), 강남구(56만1,52명) 순이었다.

서울 시내 한 자치구 관계자는 “2015년 당시 쓰레기 줄이기 운동을 대대적으로 펼쳤는데, 쓰레기를 줄이려면 재활용품 배출을 늘려야 하고, 그러다 보니 일부 자치구에서는 인구수에 비해 재활용품이 더 많이 나왔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아파트 단지가 개인 주택보다 분리수거가 수월한 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재활용품 분리수거량이 반드시 인구와 비례하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문제가 된 비닐봉투류를 가장 많이 배출한 자치구는 서초구로 2015년 기준 6,093t으로 집계됐다. 서대문구(5,291t)와 구로구(5,060t)가 각각 두 번째와 세 번째를 차지했다. 시 관계자는 “근본적으로는 비닐봉지 사용을 줄일 필요가 있다”며 “비닐봉지 무상 제공업소를 단속하고 종이봉투·종이상자 사용 캠페인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