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독거노인 돌봄서비스 대상 2022년 90만명으로 확대

2815A19 독거노인 돌봄서비스 현황·목표



정부가 빠르게 늘고 있는 독거노인에 대한 지원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특히 돌봄서비스 지원 대상을 올해 62만여명에서 2022년 90만여명까지 40% 이상 늘린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8~2022년 제2차 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을 발표했다.

독거노인은 2010년 105만6,000명에서 올해 140만5,000명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중증질환이 있거나 소득이 적은 취약 독거노인은 64만1,000명에 이른다. 하지만 정부가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원은 62만6,000명에 그치는 실정이다. 독거노인은 소득·건강이 양호한 사람도 언제든 취약 상황에 빠질 수 있는데 현행 복지서비스는 취약 독거노인조차 다 아우르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복지부는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2022년까지 지원 대상을 90만2,000명까지 늘리기로 했다. 2022년 예상 취약 독거노인 78만2,000명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 상황이 양호한 노인이 위기에 빠지는 것을 예방하는 데까지 복지를 확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구체적으로 향후 독거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거나 주민등록상 동거인이 있지만 사실상 혼자 사는 독거노인을 발굴해 ‘생생 싱글라이프’, ‘홀로서기 멘토링’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생생 싱글라이프는 노인복지관 등과 연계해 우울·치매 예방, 건강 관리 등을 실시하는 사업이고 홀로서기 멘토링은 사별을 먼저 경험한 노인과 초기 독거노인 간에 멘토링을 연결시켜주는 프로그램이다.

정부가 제공하는 임대주택에서 건강관리·생활 지원 등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는 ‘공공 실버주택’도 확대한다. 현재 공공 실버주택은 성남 위례와 분당 목련마을 등 2곳뿐인데 2022년까지 21곳까지 늘릴 예정이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독거노인에게 지역 사회 중심의 촘촘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