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전년 대비 31% 감소

산림청, 피해고사목 전량 방제…2022년 4월까지 10만 그루대로 저감

이종건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이 2017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성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제공=산림청이종건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이 2017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성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제공=산림청



산림청은 지난해 5월부터 올 4월까지 전국 117개 시·군·구에서 69만 그루의 재선충병 피해 고사목이 발생됐고 이를 전량 방제했다고 4일 밝혔다.

재선충병 피해 규모는 전년(2016.5~2017.4) 99만그루 대비 31% 감소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경북(19만 그루), 경남(15만 그루), 제주(13만 그루), 울산(12만 그루)등 4개 지역의 피해가 전체의 88%를 차지했다.

산림청과 지자체는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인 북방수염하늘소와 솔수염하늘소의 우화 시기를 고려해 지난해 10월부터 방제에 나서 내륙지역은 3월말, 제주지역은 4월말까지 피해 고사목을 방제했다.

방제기간 동안 매일 4,000여명의 방제인력이 투입돼 피해 고사목 69만 그루뿐만 아니라 감염 우려목, 매개충 서식처가 될 수 있는 일반 고사목 등 총 206만 그루을 제거했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는 범정부적인 총력 대응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지난 2014년 4월 기준 218만 그루이던 피해 고사목은 ▦(2015.4) 174만 그루 ▦(2016.4) 137만 그루 ▦(2017.4) 99만 그루 ▦(2018.4) 69만 그루로 크게 줄었다.

관련기사



산림청은 과학적인 예찰과 방제품질 향상으로 전년 대비 피해 감소폭이 2018년에는 36% , 2019년 이후에는 매년 40% 이상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2년 4월 기준 피해목 발생을 10만 그루 이하로 줄일 계획이다.

산림청은 재선충병에 총력 대응하기 위해 방제실행계획을 수립, 방제현장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적극적인 방제전략을 펼쳤다.

전국 9개 세부 권역별 방제전략을 수립해 피해 선단지를 중심으로 압축방제에 나섰고 전문가로 구성된 방제 컨설팅 팀을 운영하여 방제현장 지원을 강화했다.

신규 발생지와 주요 선단지의 경우 일정 구역내 소나무류를 모두 제거하는 모두베기 방식을 적극 추진하고 주변의 건강한 소나무에 예방나무주사를 실시하는 선제적 예방조치에 적극 나섰다.

이밖에 드론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전자예찰함 등의 과학적 예찰로 고사목을 신속·정확히 발견하면서 방제 누락을 방지했고 매개충을 단기간내 사멸시켜 주변으로의 확산을 저지하는 효과를 지닌 새로운 나무주사 약제를 등록해 현장에 적용하는 등 새로운 방제방식도 도입했다.이종건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국민들의 적극적인 신고와 동참으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감소 추세에 있어 2022년까지 피해를 10만 그루이하로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