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정의용 극비 방미 왜] 비핵화-체제보장 '빅딜' 의견 나눴나

鄭 실장, 볼턴 보좌관 만나

靑 "북미회담 장소 협의 보다

더 큰 내용 논의했을 가능성"

"주한미군 성격 논의" 분석도

정의용 실장정의용 실장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3일 극비리에 미국을 방문해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난 데 대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4일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정 실장이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논의하자는 미 국가안보회의(NSC)의 요청으로 비공개 방미했다”며 “미국의 요청에 따라 사전에 공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 실장의 방미는 지난달 27일 남북 정상회담 이후 처음이며 지난달 24일 이후 약 열흘 만이다. 카운터파트인 볼턴 보좌관 취임(지난달 9일) 이후 한 달 새 벌써 세 번째다. 외교가 안팎에서는 정 실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면담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북미 회담 장소 문제는 ‘스몰 딜(작은 쟁점)’인 것 같다”며 “북미 회담이 북핵 해결을 위한 본격적인 라운드라는 것을 고려하면 좀 더 ‘빅 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지 않겠나 추정한다”고 말했다. 판문점 등 북미 회담 장소를 조율하려면 공식 외교 채널을 통하거나 전화통화만으로도 충분히 의견을 나눌 수 있는데 미국이 정 실장을 초청한 것은 이보다 큰 내용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라는 이야기다.


주목할 부분은 미국이 먼저 방미를 요청했고 그것도 비밀에 부칠 것을 부탁했다는 점이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통일안보센터장은 “미국이 북한으로부터 비핵화에 따른 체제안정 등 구체적이고 중대한 조건을 제안받았는데 이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물어보려 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일각에서는 미국이 북미 회담과 이어질 정전선언·평화협정에서 주한미군 축소 등을 포함한 그림을 그리고 있는데 이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묻기 위해 외교안보 최고 라인인 정 실장을 극비리에 불렀다는 관측도 나온다. 3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펜타곤(국방부)에 주한미군 축소를 검토하라고 명령했다는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대해 미 NSC 고위관계자가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하기는 했지만 미국의 진의는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유세 때부터 비용은 막대하게 들지만 실익은 크지 않다며 주한미군 철수를 꾸준히 거론해왔다.

정 실장은 이 외에도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2일 취임식에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 중 ‘완전한’을 ‘영구적인(Permanent)’으로 대체해 ‘PVID’라고 칭했는데 이에 대한 미국의 진의를 확인하고 향후 이를 북측에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와 사찰을 허용한 가운데 세부적으로 어떤 식으로 검증을 진행할지에 대한 의견 교환의 가능성도 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