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 62%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 탓

"스쿨존 제한속도 철저히 준수"

교통사고 발생 '오후 5시' 최다

0515A21 운전자의무위반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 10명 중 6명은 운전자의 안전수칙 불이행 때문에 목숨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지난 2016년 어린이 교통사고 1만1,264건의 가해 운전자 법규위반 유형을 분류한 결과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이 6,174건(54.8%)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은 도로교통법 49조에 명시된 전방 주시, 운전 중 휴대폰 사용 금지 등 ‘모든 운전자의 준수사항’을 어긴 행위다.

이 같은 운전자 의무위반 행위로 사망한 어린이는 전체 사망자 71명의 62%에 해당하는 44명으로 집계됐다. 부상자도 전체 1만4,215명의 절반이 넘는 7,659명(53.9%)에 달했다.


반면 과속, 신호위반, 중앙선 침범처럼 운전자가 능동적으로 법규를 위반하는 행위는 전체 어린이 교통사고에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았다. 과속에 따른 어린이 교통사고는 29건(0.3%), 중앙선 침범은 431건(3.8%), 신호위반은 1,250건(11.1%)으로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보다 훨씬 적었다.

관련기사



어린이는 키가 작아 운전자의 사각지대에 들어갈 가능성이 큰데다 충동이나 몰입 성향이 강한 탓에 갑자기 도로로 뛰어들거나 무단횡단할 확률도 높아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에 따른 교통사고가 많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도로교통공단의 한 관계자는 “운전자가 기본 의무를 지키지 않고 한눈을 팔면 돌발상황에서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제한속도를 지키고 차량 출발과 주정차 전 주위를 꼼꼼하게 살피는 등 안전운전 의무만 제대로 지켜도 어린이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어린이·청소년 보행자 교통사고는 하루 중 오후5시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과 서울보라매병원이 2013∼2016년 보행 중 교통사고로 전국 23개 병원 응급실을 찾은 15세 이하 환자 6,958명을 분석한 결과 교통사고는 오전9시 이후부터 증가해 오후5시에 최고조를 기록했다. 오후5시대에 하루 어린이 교통사고 중 12.4%(865건)가 집중됐으며 사망률도 1.0%(9건)로 나타났다. 하루 중 시간대별 교통사고 발생 비율은 오후2∼8시가 62%로 가장 높았다. 이어 오전8시∼오후2시 23.2%, 오후8시∼오전8시 14.8% 등이었다.


세종=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