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만파식적] 킬라우에아 화산

0815A38 만파



대항해시대가 종착역을 향해 달려가던 1778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은 태평양에서 대서양으로 통하는 항로를 개척하기 위해 나섰다가 알려지지 않은 섬들을 발견했다. 이전 스페인 탐험가들은 그다지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곳이었지만 그는 이 섬을 자신의 후원자 이름을 따 ‘샌드위치 제도’라고 불렀다. 옛 폴리네시아어로 ‘고향’이라는 뜻을 가진 하와이가 처음 서양에 알려지는 순간이었다. 1년 후 비극적인 최후를 맞기 전까지 쿡에게 하와이는 항해에 꼭 필요한 보급지이자 안락한 휴식처였지만 하와이의 어머니가 화산이고 지금도 여전히 어머니의 품 안에 있다는 사실은 꿈에도 몰랐을 것이다.


하와이는 화산 활동의 결과로 탄생한 섬이다. 길이 5,800㎞, 폭 500㎞, 깊이 2,000㎞에 섭씨 1,500도의 마그마를 머금은 화산지대의 한가운데 존재하는 하와이에는 화산만 130여개, 활동 중인 곳도 4개나 된다. 불의 여신 ‘필레’가 산다는 전설을 지닌 ‘킬라우에아’는 이 중에서도 가장 위력적인 화산이다. 문헌상 화산 분출 기록은 220년 전부터 있었지만 주변 암석 등을 분석하면 연대는 22만~27만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관련기사



킬라우에아는 한 번 화를 내면 모든 것을 무자비하게 파괴한다. 1790년 대규모 폭발 때는 정상에서 불기둥이 약 9㎞ 높이까지 치솟고 수많은 용암을 뿜어내 본섬에 있던 전사들과 그 가족을 포함해 최대 5,000명 이상을 몰살시키는 참극을 일으켰다. 1840년에는 무려 26일 동안 폭발이 지속돼 2억~2억6,000만㎥나 되는 용암이 쏟아져 나와 주변을 초토화하기도 했다. 당시 화산 분출과 용암으로 발생한 화재는 밤에는 30㎞ 떨어진 곳에서도 글을 볼 수 있을 정도로 강렬했다. 킬라우에아의 위력이 이토록 강력하다 보니 화산 활동이 감지될 때마다 섬 전체가 공포에 휩싸이는 것은 당연할 수밖에 없다.

킬라우에아 화산이 ‘지상 낙원’ 하와이를 다시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지난 4일 오전 규모 6.9의 강진이 발생한 후 화산 주변에 균열이 생기고 용암 분출구가 확대되면서 흘러내린 용암으로 가옥 26채가 파손되고 주민과 관광객 4,000여명이 대피했다. 아직 분출할 수 있는 용암이 있을 수 있어 피해가 더 늘어날지 모른다니 걱정이다. 자연의 거대한 힘 앞에서 인간은 역시 한없이 작을 수밖에 없는 모양이다. /송영규 논설위원

송영규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