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민주 "동시 특검·추경" 한국 "특검 먼저"

與野 국회정상화 협상 또 결렬

우원식 "지방선거에 이용 의심"

김성태 "민주, 특검수용 성의없어 "

5월 국회도 공전 가능성 커져

丁의장 "진전 없을땐 특단조치"

김성태(가운데)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발언을 하기 위해 단상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성태(가운데)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발언을 하기 위해 단상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7일 국회 정상화를 위한 협상을 재개했지만 또다시 합의에 실패했다.

자유한국당이 김성태 원내대표 폭행사건을 ‘정치테러’로 규정하고 대여 투쟁 수위를 높이는 상황에서 협상 당사자인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의 임기도 사흘밖에 남지 않아 5월 국회 공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이 새 원내대표 체제를 꾸려 야당과 협상을 재개하려면 5월 하순은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우원식 민주당, 김성태 한국당, 김동철 바른미래당, 노회찬 평화와 정의 의원모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본청에서 1시간가량 비공개 회동을 하고 협상을 벌였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합의가 불발된 가장 큰 원인은 민주당원 댓글조작 사건(일명 드루킹 사건) 특검에 대한 여야 간 견해 차이다.

관련기사



우 원내대표는 이날 회동에서 “드루킹 특검을 수용하겠다”며 3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우 원내대표는 △24일 본 회의 때 추가경정예산안과 특검법 동시처리 △드루킹의 인터넷상 불법 댓글 조작사건의 진상규명 특검 명칭 사용 △야당 교섭단체 간 합의로 특검 추천 및 여당의 거부권 행사 등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선(先) 특검 처리를 주장하며 우 원내대표의 제안을 거부했다.

우 원내대표는 회동 결렬 직후 “어떻게든 국회를 파탄 내고 그것을 명분으로 삼아 지방선거에 임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비난했다. 노 원내대표도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협상할 자세가 있는지, 합의 의지가 있는지 대단히 의문스러운 회동이었다”며 민주당에 힘을 실어줬다. 반면 김성태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본청 앞에서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정세균 의장이 정한 8일 오후 2시까지 민주당이 성의 있는 자세를 보이지 않는다면 천막농성투쟁, 노숙단식투쟁 모든 것을 접고 이대로 5월 국회 종료를 선언할 수 밖에 없다”며 민주당에 최후통첩을 보냈다. 김동철 원내대표도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이 말로는 특검을 수용한다고 했지만, 사실상 야당이 받을 수 없는 수많은 전제와 조건을 내건 아주 교활한 제안이었다”라고 힐난했다.

여야 합의 가능성이 희박해지면서 8일 정세균 국회의장의 조치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앞서 정 의장은 ‘8일 오후2시’까지 협상에 진전이 없으면 특단의 조치를 취할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