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낙동강생물자원관 철강폐수 처리기술 개발

경북 상주시에 있는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철강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미세조류 슬러지 회수를 병행할 수 있는 전기화학기술을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고 9일 밝혔다.

전기화학기술을 활용한 처리공법은 전기분해를 통해 산화·환원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회수하는 기술이다.

이번 연구는 특수한 전극을 활용해 전기적으로 응집, 부상, 산화 반응이 일어나도록 실험실 규모로 설계된 새로운 전기화학기술을 적용해 유기오염물질 및 미세조류의 제거효율을 95% 이상 달성하는 것을 입증 했다.


실험결과 단일 원통형 반응조(직경9.5㎝×높이12㎝) 내에 미세조류 슬러지 (1000ppm), 화학적 산소요구량(275ppm), 황화시안(53ppm)이 함유된 철강폐수를 주입하고, 특수 전극을 통해 30 mA/cm2의 직류전원을 공급한 결과, 40분 뒤에 각각의 오염물질들이 95% 이상 제거되는 것을 확인했다.

관련기사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기존의 물리 화학적 처리기술에 비해 에너지 소모를 줄이면서 전체 처리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앞으로 실험실 규모의 단일 원통형 반응조를 연속처리 공정으로 개발해 철강 원 폐수처리와 미세조류 증식기술을 병행하는 등 철강폐수의 연속처리 공정 개발을 위해 심화연구를 계속할계획이다.

최기형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관장 직무대리는 “이 기술은 미세조류를 활용해 우리나라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선진국형 폐수처리 공법’을 개발하는데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천=이현종기자 ldhjj13@sedaily.com

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