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암환자 가족 우울증 1.6배…여성이 더 위험"

연세의대 연구팀 3만8,000명 분석

무직·이혼·학력 등도 우울증 높여

암환자의 가족들은 그렇지 않은 가족보다 우울증 진단율이 1.6배 높다는 연구가 있었다.암환자의 가족들은 그렇지 않은 가족보다 우울증 진단율이 1.6배 높다는 연구가 있었다.



암환자와 함께 사는 가족 구성원은 우울증 진단율이 1.6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가족 중 암환자가 생기면 그 가족도 정신적으로 위험해지는 셈이다.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박은철 교수팀은 2007~2014년 사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3만8,126명(남 1만6,808명, 여 2만1,318명)을 대상으로 암환자와 함께 살면서 우울증 진단을 받은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한 조사 결과라고 11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대한예방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최근호에 발표됐다.


암환자에게 있어 가족은 사회적 정신적 지지자이다. 이와 함께 환자의 질병관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 과정에서 암환자 뿐 아니라 그 가족도 큰 스트레스에 노출된다. 이번 조사에서 가족 중 암환자를 둔 사람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우울증을 진단받은 비율이 1.56배 더 높았다. 성별로 볼 때 여성의 경우 우울증 진단율이 1.59배에 달했지만 남성에게서는 여성만큼의 유의미한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남성보다 간병 의무 부담이 여성에게 비대한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관련기사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을 배제했을 때 대학 졸업자보다 고등학교 졸업 여성의 우울증 위험이 1.61배 높았다. 또 직업이 없는 여성의 우울증 진단율은 직업이 있는 여성의 1.27배였다. 비동거·이혼의 경우도 1.48배 더 우울증 진단율을 높이는 요소였다.

박은철 교수는 “암환자의 병이 진행하면서 가족 구성원은 환자와 비슷하거나 심지어는 더 큰 고통을 겪는다”면서 “암환자가 있는 가족들의 우울증 진단과 관리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된다”고 덧붙였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