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청바지 입은 꼰대'…직장인 88% "기업문화 변화 여전히 미흡"

대한상의-맥킨지, '한국 기업문화 2차 진단 보고서' 발표

국내 기업들 불통·비효율·불합리 여전히 낙제점에 머물러

근본적인 변화 위해서는 실질적 ‘4대 과제 이행’ 중요해

대한상공회의소와 컨설팅 기업 맥킨지가 작성한 ‘기업문화와 조직건강도 2차 진단 보고서’에서 국내 기업들의 후진적 기업문화 탈피 시도가 미흡했다고 진단했다./출처=이미지투데이대한상공회의소와 컨설팅 기업 맥킨지가 작성한 ‘기업문화와 조직건강도 2차 진단 보고서’에서 국내 기업들의 후진적 기업문화 탈피 시도가 미흡했다고 진단했다./출처=이미지투데이



국내 기업들이 불통·비효율·불합리로 요약되는 후진적 조직문화를 탈피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대다수 직장인은 일부 개선 조짐을 두고 단지 ‘청바지 입은 꼰대’, ‘무늬만 혁신’일 뿐이라는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한상공회의소와 글로벌 컨설팅 전문업체 ‘맥킨지’는 14일 ‘한국 기업의 기업문화와 조직건강도 2차 진단 보고서’를 내놨다. 해당 보고서는 2016년 1차 진단 후 2년간의 변화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업문화 진단 결과’와 주요 기업을 분석한 ‘조직건강도 심층진단 결과’ 등을 골자로 한다.


기업문화 진단 결과는 대기업 직장인 2,0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기업문화는 일부 개선됐으나 여전히 낙제 수준에 머물렀다. 평가 항목은 2년 전 후진적 기업문화 요소로 지적받았던 습관적 야근, 비효율적 회의, 불통의 업무 방식 등이었다. ‘기업문화 개선 효과를 체감하느냐’는 질문에 ‘근본적인 개선이 됐다’는 응답은 12.2%에 그쳤다. 전체의 59.8%는 ‘일부 변화는 있으나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답했고, ‘이벤트성일 뿐 전혀 효과가 없다’는 응답도 28.0%에 달했다.

세부 항목별로는 ‘야근’이 31점에서 46점으로 개선됐으나 50점을 밑돌았고, 회의(39점→47점), 보고(41점→55점), 업무지시(55점→65점)도 모두 상승했지만 여전히 낙제 수준이었다. 유일하게 회식은 77점에서 85점으로 ‘우수’로 평가됐다.


이를 두고 대한상의 관계자는 “무늬만 혁신, 보여주기식, 청바지 입은 꼰대 등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면서 “기업의 개선활동이 대증적 처방에 치우쳐 있어 조직원들의 피로와 냉소를 자아낸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대기업 3곳, 중견기업 3곳, 스타트업 2곳 등 모두 8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직 건강도 분석’에서도 7곳이 글로벌 기업에 비해 후진적으로 평가됐다.

조직건강도는 기업의 조직경쟁력을 가늠하기 위해 맥킨지가 1991년 개발한 진단 방식으로, 9개 영역·37개 세부 항목으로 구성된다. 지난해까지 글로벌기업 1,800여 곳에 적용됐다. 이번 진단에서 책임소재, 동기부여 항목에서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평균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우위를 보였으나 리더십, 외부 지향성, 조율과 통제(시스템), 역량, 방향성 등 대다수 항목에서 뒤처진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상의는 조직건강을 해치는 3대 근본원인으로 비과학적 업무 프로세스와 비합리적 성과 관리, 리더십 역량 부족 등을 선정했다. 그러면서 근본적인 변화를 위한 4대 개선 과제로 빠른 업무 실행, 권한·책임 부여된 가벼운 조직체계, 자율성 기반 인재육성, 플레잉 코치형 리더십 육성 등을 제안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기업문화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 성공사례를 공유하는 콘퍼런스를 개최하는 한편 플레잉 코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라면서 “기업문화 개선의 지침서로 삼을 기업문화 표준매뉴얼 등도 제작 배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