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문대통령, 일정 비운 채 한미정상회담 준비 전념

靑 관계자 "비핵화 관련 미국과 매일 긴밀한 협의"

불확실성 제거하고 신뢰 구축 위해 전력투구

특검합의 등 국회정상화 합의로 여건 호전 분석도

문재인 대통령이 모든 일정을 접고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한미정상회담 준비에 전념하고 있다./서울경제DB문재인 대통령이 모든 일정을 접고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한미정상회담 준비에 전념하고 있다./서울경제DB



문재인 대통령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한미정상회담 준비에 전념하고 있다.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비핵화 방식과 구체적 방법론들이 거론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북미 간 입장차를 좁히고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1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비핵화에 관한 우리의 포괄적 의견과 입장을 미국에 전달했다”며 “미국과 매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과의 협의와 맞물려서 문 대통령 역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등 주요 참모들로부터 수시로 보고를 받으면서 한미정상회담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지난 14일에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 외에는 공식일정도 잡지 않는 등 한미정상회담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다음 주 초에 한미정상회담이 있는 만큼 거기에 집중하는 차원”이라며 “북미정상회담에서 어떤 이야기들이 오가야 할지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논의 내용 준비중”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과 청와대가 한미정상회담에 만전을 기하는 이유는 이번 회담이 북미정상회담의 성공 여부를 좌우할 변수이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나 지금까지 확인한 북한의 비핵화 관련 입장을 상세히 설명하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미 회담에 필요한 ‘노하우’를 전달해 북미 간 입장의 교집합을 찾는 게 중요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특히 북미정상회담이 임박한 시점에서 비핵화의 구체적 이행 방안을 두고 확인되지 않은 관측들이 제기돼 북미 정상 간 담판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처도 필요하다. 미국이 북한 내 핵시설 사찰·검증을 위해 대규모 다국적군 파견을 검토하고 있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 청와대가 신속하게 “선례도 없을뿐더러 가능성이 떨어지는 주장”이라고 선을 그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미국이 핵시설 검증에 전문가도 아닌 군을 동원하면 그건 북한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일 것이다.

이러한 상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문 대통령은 오해 제거와 신뢰 구축이라는 중재 역할을 하는데 전력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 이뤄지진 않았지만 남북 정상 간 핫라인 통화 가능성이 열려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핫라인 통화는 한미정상회담 전에 할 가능성이 크다고 봐야겠지만 미국을 다녀와서 하는 방안도 생각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국회 교착이 풀려 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 준비에 집중할 여건이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을 만나 여야가 전날 특검에 합의하고 국회를 정상화한 것을 두고 “여야 합의를 존중한다”며 “민생을 챙길 추경 등이 조속히 처리되길 기대한다”는 말로 환영의 뜻을 전했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