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판문점 '평화의 집'이 개성에 있다? 정상회담 전후 외신기사 오류 312건

문체부 해외문화홍보원 "바로잡아 달라" 정정 요청

‘4.27 판문점 선언’이 이루어진 장소인 평화의 집. /연합뉴스‘4.27 판문점 선언’이 이루어진 장소인 평화의 집. /연합뉴스



지난 4월 열린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전후해 외신 매체의 기사 가운데 300건이 넘는 사실 오류가 발견됐다.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은 남북정상회담 전후한 6주간(4월2일~5월10일) 외신 보도를 조사한 결과 253건의 기사에서 총 312건 오류가 발견돼 시정을 요청했다고 23일 밝혔다.

관련기사



판문점(공동경비구역)과 휴전선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특히 많이 발견됐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구글 지리 정보에서 회담 장소인 판문점 ‘평화의 집’ 주소가 개성시로 검색됐다. 판문점과 공동경비구역이 별개 구역으로 표시하거나, 판문점을 ‘국경마을’, ‘정전촌(停戰村)’ 등으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었다. 휴전선과 38선을 엇갈려 표기한 사례도 많았다. 이와 함께 2000년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 결과 양측이 아무런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기술한 사례와 당시 대통령 이름을 잘못 기재한 사례, 남북한 국기를 혼동한 사례도 발견됐다.

해외문화홍보원 관계자는 “이번에 발견된 오류들에 대해 해당 언론사에 관련 사실을 통보하고 바로잡아 달라고 요청했다”며 “오류를 선제적으로 바로잡는 활동이 한국에 대한 해외의 잘못된 인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