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울주 반구대 암각화 주변서 공룡발자국 화석 30점 추가 확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일대에서 발견된 육식공룡 발자국 화석 /사진제공=국립문화재연구소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일대에서 발견된 육식공룡 발자국 화석 /사진제공=국립문화재연구소



울주 반구대 암각화(국보 제285호) 주변에서 약 1억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공룡발자국 화석 30점이 더 확인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3월 시작한 반구대 암각화 발굴조사 결과 암각화 북동쪽 암반에서 중생대 백악기 육식공룡 발자국 화석 16개와 초식공룡 발자국 화석 14개를 찾아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소는 2013년에도 암각화 앞쪽 강바닥과 구릉부를 조사해 공룡발자국 화석 81개를 발견했다. 발자국 화석 중 육식공룡은 2개, 초식공룡은 79개였다. 이번 발굴조사는 반구대 암각화 전망대에서 보면 왼쪽 하천 지역에서 이뤄졌다. 조사 대상지는 가로 60m, 세로 20m에 이르는 1,200㎡로, 두께 3∼4m인 하상퇴적층을 제거하면서 나온 암반에서 공룡발자국 화석이 확인됐다.

관련기사



이번에 조사된 하상 퇴적층은 2013년도에 이루어진 반구대 암각화 주변 발굴조사 결과와 같이 사연댐 축조 이전과 이후의 퇴적층으로 확연하게 구분되어 있었다. 다만 하천의 침식과 퇴적작용이 활발하여 2013년도에 확인된 신석기 시대 추정층은 더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소는 다섯 개 층에서 공룡발자국 화석을 찾았으며 발자국 형태와 크기, 보폭을 기준으로 육식공룡과 초식공룡을 구분했다고 설명했다. 육식공룡 발자국 화석은 두 개 층에서 두 발로 보행하는 수각류 4마리가 남긴 보행렬 형태로 파악됐다. 발자국 크기는 길이 9∼11㎝, 폭 10∼12㎝이다. 초식공룡 발자국 화석은 두 발이나 네 발로 걷는 조각류가 남긴 것으로 조사됐다. 울주 반구대 암각화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고래사냥의 모습을 비롯하여 수렵과 어로를 위주로 한 당시 한반도의 생활풍속을 알려줄 뿐 아니라 북태평양의 해양어로 문화를 담고 있는 귀중한 선사 시대 문화재이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