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스코 '안전경영'에 3년간 1조 투입

가스질식 사망 사고 후속 조치

설비 보완하고 안전 인력 육성

컨트롤타워 안전사무국도 신설

2515A12 포스코안전사고방지



포스코가 3년간 1조원이 넘은 안전 예산을 집행한다. 올해 초 포항제철소에서 근로자 4명이 질식사하는 사고가 났던 데 따른 후속 조처다.

포스코는 24일 회사 전체 안전 점검을 실시한 결과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기존 안전예산 5,453억원에 5,597억원을 증액해 안전대책을 세웠다고 24일 밝혔다. 포스코는 향후 3년 동안 1조1,05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번 결정은 올해 초 포항제철소 내 산소공장 사고 후 추가 재해를 막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1월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냉각탑 충전재 교체작업을 하던 외주업체 근로자 4명이 유독가스에 질식해 숨진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직후 포스코는 모든 사업장에 대한 안전보건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추가된 예산은 △밀폐공간 같은 중대 재해 발생 가능 장소·시설물에 안전장치 보완(5,114억원) △안전 관련 조직 신설과 인력 육성(369억원) △외주업체 안전 교육 및 감시인 배치(114억원) 등에 쓰인다.


포스코는 모든 밀폐공간에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차단판과 이중 밸브를 설치하고 드론으로 작업 전 가스를 검지하는 작업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설비에는 위험지점 방호커버를 설치하고 현장 계단도 넓혀 난간과 발판을 개선한다.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2중 안전고리가 달린 안전벨트를 모든 직원이 쓰도록 하고 추락 방지망을 반드시 설치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회사 내 안전조직도 개편하기로 했다. 우선 본사에는 임원급의 ‘안전전략사무국’을 신설해 안전업무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길 예정이다. 또 개별 제철소마다 설치돼 안전 관련 업무를 총괄했던 안전방재부를 제철소장 직속으로 격상할 계획이다.

안전활동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제철소장, 노경협의회 의원, 외주업체 사업주와 직원이 공동참여하는 안전협의체도 구성한다. 매 분기 총회와 격월 단위 전문위원회, 매월 실무회의를 개최해 주요 안전정책을 수립하고 개선활동을 점검한다. 또 설비투자시 전문가들이 참여해 위험 요소를 찾는 안전평가 위원회와 근로자 위원, 안전부서장 등 근로자들이 직접 참여해 안전 위반과 우수사례를 심사하는 안전 심의 위원회도 신설한다.

안전 인력 육성에도 나선다. 외부에서 안전보건전문가를 영입하고 관련 전문성을 지닌 이들을 신규 채용하는 등 약 200명의 안전 전담 인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외주업체 직원들에게는 포스코 안전보안시스템 접속 권한을 주고 안전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직영 및 외주업체 직원과 사업주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안전협의체·안전평가위원회·안전심의위원회 등 근로자 참여형 안전활동도 강화한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