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성폭력 수사 끝날 때까진 맞고소해도 무고 수사 안 한다

대검, 성범죄대책위 권고 수용해 수사매뉴얼 개정

성폭력 가려질 때까진 '역고소·맞고소' 무력화…2차 피해 방지

미투 운동으로 성폭력 피해 사실을 알린 피해자에 대해 피의자가 무고로 역고소를 해도 검찰은 무고 사건 수사에 착수하지 않는다./출처=이미지투데이미투 운동으로 성폭력 피해 사실을 알린 피해자에 대해 피의자가 무고로 역고소를 해도 검찰은 무고 사건 수사에 착수하지 않는다./출처=이미지투데이



성폭력 혐의를 받는 피의자가 피해자를 무고로 역고소해도, 성폭력 사건 수사가 끝나기 전에는 검찰이 무고 사건 수사에 착수하지 않기로 했다.

28일 법무부 성희롱·성범죄 대책위원회(위원장 권인숙)와 검찰에 따르면 대검찰청은 이런 내용을 골자로 ‘성폭력 수사매뉴얼’을 개정해 최근 전국 59개 검찰청 여성아동범죄조사부에 배포했다. 개정 매뉴얼은 성폭력 발생 여부가 명확해지기 전까지는 성폭력 고소 사건 관련 무고 사건 수사를 중단하는 방침을 담았다.


이번 수사매뉴얼 개정은 성희롱·성범죄 대책위원회의 권고 사항을 검찰이 수용한 것이다. 대책위는 지난 3월 11일 성범죄 피해자가 가해자로부터 무고 혐의로 고소되는 경우 성폭력 사건의 수사가 종료될 때까지 무고 사건 수사를 중단하도록 수사 지침을 마련하라고 법무부 장관에게 권고했다.

관련기사



대책위는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으로 성범죄 피해자들이 용기 내어 피해 사실을 말하기 시작했지만, 가해자가 법을 악용해 역고소하면 처벌을 받을지 모른다는 우려와 고통에 시달린다는 점을 권고 이유로 꼽았다.

대검은 이밖에 미투 운동으로 성폭력 피해 사실을 알렸다가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고발된 경우, 미투의 공익성을 고려해 명예훼손죄의 책임이 조각되는 ‘위법성 조각(阻却·성립하지 않음) 사유’에 해당하는지도 면밀히 검토하라고 성범죄 조사부서에 지시했다.

대책위는 “법무부와 검찰에서 성범죄 피해자의 2차 피해 방지를 위해 전향적인 시스템을 마련한 것을 환영한다”며 “성폭력 범죄 피해자가 안전하게 피해 사실을 신고하고 가해자에 대한 정의로운 처벌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