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AI가 작문 채점하는 中

중국 내 학교 4곳 중 1곳 적용

"시간 절약"에 "오류 잦아" 지적도

“어휘는 풍부하고 적절하나 학문적인 언어에는 다소 못 미친다.”

중국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작문평가 프로그램이 워싱턴포스트(WP)의 한 기사에 대해 내린 평가다. 점수는 100점 만점에 71.5점.

중국에서는 6만여 학교에서 1억2,000만여명에 달하는 학생들의 작문을 평가하는 데 이 같은 AI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8일 보도했다. 중국 내 학교 네 곳 중 한 곳은 AI가 작문을 채점한다는 얘기다.


작문 채점 AI는 글의 전반적인 논리와 의미를 분석해 평가하고 나아가 작문 스타일, 구조, 주제 등의 개선점도 제안한다.

관련기사



개발자들은 이 기술이 작문 평가에 드는 교사의 시간을 절약하고 인간 교사에게서 불가피하게 나타날 수 있는 평가의 오류나 편견을 바로잡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온라인 평가 등을 통해 산간벽지 등에 사는 학생들의 작문 실력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객관적 답이 요구되는 문제가 아닌 작문 평가에 AI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이 기술도 학생들의 공식 학업기록에 남을 시험이 아닌 비공식적인 교내 시험에만 적용된다. SCMP는 “AI 기술을 적용한 평가 점수와 인간 교사의 평가 점수가 일치한 비율이 92%이나 됐지만 뛰어난 작문에 형편없는 점수를 매기는 사례도 자주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기계의 평가를 받는 데 대한 반감도 만만치 않다. 위야펑 베이징사범대 교수는 “컴퓨터가 수학·물리학 등 객관적 답이 요구되는 영역에서는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문화적·감성적·개인적 요소가 강한 작문 평가에 이를 활용하는 것은 논란을 불러올 수 있다”고 말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