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중앙은행 평판, 소통에 힘쓸 필요 있어

기업인들의 평가가 통화정책 성과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중앙은행은 소통에 힘쓸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8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발간한 BOK경제연구 ‘중앙은행 평판과 정책성과:62개국 고위경영자 서베이 분석’ 보고서를 보면 중앙은행의 평판이 좋을수록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거나 물가목표에 잘 안착하는 등 성과가 난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서는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가 각국 경영자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Executive Opinion Survey) 결과로 중앙은행의 평판을 가늠한 것으로 알려졌다.

IMD는 고위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중앙은행 정책은 경제발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질문을 던져 각국 중앙은행을 평가하도록 한 것으로 전해졌다. 0부터 10 사이에서 선택하는 방식인 것.

IMD 평가 결과를 보면 중앙은행 총재 교체 빈도가 낮을수록(즉, 실질적인 독립성 정도가 높을수록), 커뮤니케이션 횟수가 많을수록,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한 국가일수록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서는 이런 점에서 IMD 평가결과를 평판 기준으로 삼을만 하다고 판단했다.

관련기사



분석결과 평판이 1 만큼 상승하면 물가상승률이 1.1%p(포인트) 하락하며 반비례하는 모습이 나왔으며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하지 않는 국가에서는 평판이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효과가 더 크게 확인됐다.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한 24개국에서는 평판이 높을수록 기대인플레이션이 물가목표에 잘 안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물가변동성이나 실업률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보고서를 작성한 황인도 한은 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앙은행 평판이 통화정책 성과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실증분석한 데 의의가 있다”며 “중앙은행은 성과를 높이기 위해 소통을 적극적으로 하는 등 평판을 높이는 데 힘쓸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황 연구위원은 “90년대 후반 한은의 평판은 62개국 중 하위 7위로, 당시 외환위기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응답자 숫자가 1개국 평균 87명으로 많지 않고 주관이 많이 개입될 수 있기 때문에 국가별로 평판 순위를 비교하기는 적절치 않다”고 전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