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폼페이오 “대북 안전보장도 영구적·불가역적·검증가능하게”

미국 상원 답변에서 “북미 합의되면 조약 형태로 상원 동의받을 것”

연합뉴스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합의가 이뤄지면 그것을 조약 형태로 의회에 제출해 의회의 동의를 받겠다고 확약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열린 상원 외교위의 국무부 새해 예산안 심의 때 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면담에서 북한의 “영구적이고 불가역적이며 검증가능한” 비핵화의 반대 급부로 북한에 비핵화와 똑같은 방식, 즉 영구적이고 불가역적이며 검증가능한 안전보장을 제공하는 방안에 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벤 카딘(민주장) 의원이 ‘북미 합의가 이뤄지면 그것을 상원에 조약으로 제출하겠다는 말이냐’고 물은 데 대해 “그렇다”고 확약했다. “지금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우리가 (합의에) 성공하면 그렇게 하는 게 적절한 일이라고 본다”고 그는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날 외교위 심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공개서한을 통해 6.12 북미 정상회담 취소 방침을 밝힌 후 열렸으나,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가 빨리 이전 상태로 돌아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하는 등 의원들과 폼페이오 장관간 문답은 결국은 회담이 열리는 것을 전제하는 양상으로 이뤄졌다.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 문제와 관련,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나는 그에게 제공될 안전보장책들(assurances)에 관해 얘기를 나눴다”며 “그 보장책들은 우리가 요구하는 영구적이고, 불가역적인 비핵화, 검증가능한 비핵화와 똑같은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어야 하는 것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 방식이 북한에 요구하는 비핵화 방식과 “똑같은 방식”이라는 점을 여러차례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리비아 모델’론을 두고 민주당 측 의원들과 문답 과정에서 김 위원장이 볼턴 보좌관의 리비아 모델론을 ‘핵 포기 후 정권 교체’론으로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장담하면서 그 이유로 자신과 김 위원장간 안전보장책에 관한 대화 내용을 이렇게 소개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