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삼성물산, 첨단 스마트홈 공개...주택사업 재개하나

래미안 IoT홈랩 공개

주방·거실 등 7개 공간에 적용

"재건축 참여 안한다 한적없어"

삼성물산 직원들이 거실에 설치된 스마트미러를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살펴보고 있다./사진제공=삼성물산삼성물산 직원들이 거실에 설치된 스마트미러를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살펴보고 있다./사진제공=삼성물산



#외출을 마치고 집 현관에 들어오면 에어샤워 시스템이 작동해 알아서 미세먼지를 털어준다. 거실에서 오른손을 흔들자 커튼이 자동으로 걷히고 ‘릴렉스(Relax) 모드’를 외치면 미리 설정했던 조명이 켜진다. 거실에 설치된 스마트 미러(거울)에는 세탁기 등 가전제품의 작동 정보가 실시간으로 뜬다. 회식 후 뒤늦게 퇴근한 아빠가 안방 침대에 눕자 자동으로 소등되고 아빠가 좋아하는 실내온도가 맞춰진다.

삼성물산의 아파트 브랜드 래미안이 선보인 사물인터넷(IoT)기술을 적용한 미래형 스마트홈 모습이다. 삼성물산은 이 기술을 연내 상용화 해 내년 상반기쯤 골조공사가 진행되는 ‘서초 우성 1차 래미안’ 부터 내년 분양 물량 등에 차례로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28일 서울 송파구 문정동 래미안갤러리에서 미래형 주거문화 체험공간인 ‘래미안 IoT 홈랩(HomeLab)’을 공개했다. 일반인들에게는 다음달 1일부터 선보인다.


래미안 IoT 홈랩은 현관을 비롯해 주방, 거실, 안방, 운동방, 공부방, 영화관 등 7개 주거공간에 IoT 기술을 접목했다. 에어컨, 자동안마기, 스피커 등 전자제품을 무선 인터넷 기반 클라우드(cloud) 시스템으로 연결해 입주민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부·학생·노인 등 공간 사용자 생활 패턴에 맞게 최적의 조명, 온도 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엄마가 들락거려도 반응이 없던 자녀 방에 고등학교 2학년 딸이 들어서면 조명이 켜지고 딸이 즐겨듣던 음악이 흘러나온다. 자녀는 인공지능( AI)를 이용한 영어회화 시스템도 이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래미안이 선보인 이번 스마트홈은 음성명령이나 동작을 통해 개별 IoT 상품을 조절하는 수준을 넘어선다. 각각의 IoT 상품이 입주민의 성향과 생활패턴에 맞춰 유기적으로 작동되고 이를 통해 최적의 생활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래미안 IoT홈랩은 13개 IoT 기업이 참여해 만들었다. 삼성전자, 오디오 전문업체 하만 등 삼성계열사 뿐만 아니라 SK씨앤씨, 코닉, 신성이엔지, 솜피, 하츠, 바디프랜드 등이 참여했다. 삼성물산은 고객들로부터 아이디어를 받아 추가 상품을 개발을 확대하고 참여 기업도 더 늘릴 계획이다.

첨단 IoT 시스템 공개를 계기로 삼성물산이 2년여의 공백을 깨고 주택사업 수주를 재개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김명석 삼성물산 상품디자인그룹 상무는 “삼성물산이 재건축 사업에 참여를 하지 않는다고 한적이 없다”며 “고객 가치를 높이기 위한 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