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FT "트럼프식 거래의 기술, 핵협상에 부정적 영향 줄수도"

비즈니스선 협상 결렬돼도 사업 가능하지만 국제외교는 불가능

외교선 신뢰조성과 설득기술 필요…트럼프는 충동적 위협적

파이낸셜타임스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협상 기술이 위험성을 내포한다고 평가했다./서울경제DB파이낸셜타임스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협상 기술이 위험성을 내포한다고 평가했다./서울경제DB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부동산업계에서 통한 협상 방식인 ‘거래의 기술’(The Art of the Deal)에 대해, 국가 간 관계에까지 적용하는 것은 무리라고 비판했다.

대선 당시 유권자들에게 협상의 달인임을 과시해온 트럼프 대통령은 부동산업계에서 쌓은 경험을 토대로 ‘거래의 기술’을 펴냈으나 협상에서 자신의 목적을 관철하기 위해 상대방에 위협을 가하고 협상을 파기하는 등 극단적인 방식을 놓고 FT는 국가 간 외교에는 아주 위험한 방식이라고 혹평했다.

일반 비즈니스는 협상이 결렬돼도 다른 사업체를 선택할 수 있지만 협상 상대방을 지정할 수 없는 국제외교에서는 거친 협상과 함께 최대한의 요구를 내미는 트럼프 방식이 보다 위험하다고 FT는 꼬집었다.


FT는 29일 사설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가 벌이고 있는 북한 비핵화와 이란 핵 합의, 중국과의 무역 분쟁 등 핵심 외교현안을 거론하면서 이들 외교협상에는 상호간의 신뢰조성과 설득이라는 다른 기술이 필요하나 ‘불행하게도’ 트럼프 대통령의 충동적이고 위협적인 협상 스타일은 오히려 신뢰를 소진하고 이를 파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트럼프 지지자들은 오히려 이러한 ‘하드볼’(hardball) 스타일이 북핵협상이나 이란 핵 합의, 중국과의 무역분규 등에서 실효성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아직 그 결과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FT는 전망했다. 이어서 FT는 “아직 진정한 시험대는 오지 않았다”면서 미북 정상회담이 성사되더라도 북한의 핵 포기 목표 실패나 치장된 합의로 끝날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란에 대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핵 합의를 파기함으로써 서방의 단합을 깨트렸으며 이로 인해 이란은 궁극적으로 고립에서 쉽게 벗어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FT는 트럼프 대통령이 (외교에서) 지속적인 진전을 이루려면 협상 파트너들과 신뢰를 구축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며 지금처럼 위협과 예측 불가 스타일로는 오히려 적대감과 의심만을 키울 뿐이라면서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을 우선시하는 기존의 스타일을 바꿀 것 같지는 않다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거래의 기술’에서 “나는 어려움에 부닥쳤다고 느낄 경우 싸워나간다. 비록 그것이 큰 비용과 높은 위험을 감수하더라도….”라고 말했다. FT는 그러나 트럼프의 이러한 주장이 특히 핵 외교라는 중대사안의 경우에는 불안감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고 정리했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